구병모 절창, 이게 뭔 소리여……

독서 모임에 선정된 책이 아니었다면 분명 중간에 크게 분개하며 덮을 책이지만. 덕분에 끝까지 읽고 GPT와 대화하며, 그래도 내 입장에선 ‘이해하려’ 노력했다.

모든 읽기는 오독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이 책의 메시지라. 내 멋대로 오독해도 문제없지 않나 싶어 좀 더 홀가분한 맘이다.

일단, 스릴러도 추리소설도 로판도 아닌 이 괴상한 장르. 갑자기 장르가 전환되는 것 같기도 하고 애초에 아무 장르도 아닌 것 같기도 한 이 전개와 구성.

작가가 의도한 메타픽션이라는데. ‘의도했다’와 그 의도가 잘 구현됐다는 건 별개 이야기다.

읽는 재미로는 차라리 중후반부 반전을 살린 스릴러로 갔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이도 저도 아닌 느낌.

중반부 오언과 아가씨 간의 혐관 로판물스러운 베드씬 대목은 끝까지 참고 읽느라 인내심을 상당히 소모했다. 뭔교 이거.

혼란스러운데. 여성향 로판물에 공식처럼 쓰이는 어떤 묘사 문법이 있는 건가? 내가 그래서 모르는 것일 뿐 실은 엄청 흥미진진한 대목인 건가?

읽기 낯설었다고 너무 화내진 말자. 내가 이쪽 문법에 덜 익숙할 뿐. 누군간 여기서 진한 페이소스를 뽑아내며 만족하지 않겠는가.

상대의 ‘상처’에서만 깊은 속마음까지 읽어낼 수 있다. 그런데 그조차 오독일 수 있다. 그냥 이 주제에 천착해 보는 것 만으로도 18,000원(인터넷 구매시 10%할인) 효용은 다 한다.

내가 몇번이나 돌려봤던 청춘 성장 영화 ‘GO’. 거기서 복서 출신 아버지가 아들과 공원에서 스파링을 가장한 가정폭력을 행사하며 묻는다.

‘주먹을 뻗어 네 주위로 원을 그려라. 그 원을 나가면 사람들이 널 때릴 테고 너도 상대를 때려야 한다. 그래도 나갈 거냐’

사랑도 영업도 격투도 모두 쟁취다. 나도 남도 절창을 각오해야 한다.

카톡과 인스타그램의 잘 정제된 글과 번듯한 사진에선 발견하지 못할. 몸과 맘 어딘가 깊은 자상을 들여다봐야 상대도, 나도 알만큼 알게 되는 게 아닐까.

그조차 오독일 수 있지만.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