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사주궁리

AI가 판치는 불확정성 시대를 우짜든동 살아내기 위한 궁리

운명은 확정론적 세계관네 집에 거는 명패가 아니다.

사주명리학에서 운명은 확정론 개념이 아니다. 운은 운전하다 할때의 그 운, 즉 오퍼레이션이고. 명은 하늘의 명령. 즉 하늘에서 내려오는 피할 수 없는 내용증명이다. 내 앞으로 송달되는 명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게 운명이다. 각 시기별로 내게 주어질 하늘의 명을 살펴 어떻게 운신할지 궁리하는게 사주다. 궁즉통이라고, 어떻게든 수를 내 보려는 극동아시아 인간들의 발버둥이 수천년을 보내며 나름의 체계를 갖춘 […]

운명은 확정론적 세계관네 집에 거는 명패가 아니다. 더 읽기"

명리의 해석, Text vs. Context

명리는 개인사를 풀이하는 동양철학 방법론의 하나로 보는게 적합하지 않을까. 누구는 주류에서 인정받지 못한 학문이라고도 하고. 일부 대학에는 명리학과가 있긴 하지만, 현 시점에는 학술적 체계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고. 조선시대에는 3년 마다 명리학자를 일종의 기술직으로 채용하는 TO가 있었다고 하니. 요즘으로 치면 기술직 공무원. 굳이 비슷한 걸 찾자면 하늘의 기운이 땅에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기상청 공무원 정도가

명리의 해석, Text vs. Context 더 읽기"

신언서판과 이판사판

‘신언서판(身言書判)’ 당나라 시대 관리 등용의 기준이었다고 하고,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눈에 보이는 몸을 보고, 이어서 말을 보고, 그 다음엔 글을 본다. 그런데 그 모든 것이 결국 그 사람의 판단력을 보기 위함이다. 판단력은 눈에 쉬이 보이는 능력이 아니므로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 같이 몸과 말과 글을 보는 것이다. 그 당시엔 고위관리가 그 세계관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신언서판과 이판사판 더 읽기"

팔자대로 살까? 결정론 vs. 운전론

“다 자기 팔자다” 일반인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사주팔자에 대한 가장 유명한 관점이다. 어느정도 체념이 섞인. 그럼 사주를 공부하는 사람은 사주에 의해 한 사람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믿을까? 여기저기서 배운사람들 귀동냥을 해보니. 명리학 학파마다 조금씩 다르더라. 어느 곳은 결정론이 8할이라는 곳도 있고, 또 다른 곳은 그 반대로 2할 남짓이라는 곳도 있다. 다만, 어느 학파건 문자 그대로 완벽한

팔자대로 살까? 결정론 vs. 운전론 더 읽기"

사주팔자, 네 개의 기둥과 여덟 개의 글자

사주팔자는 단어 그대로 네 개의 기둥과 여덟글자란 소리다. 사람이 특정 시간에 딱 출생하면, 탯줄이 끊어짐과 동시에 하늘에서 부여받은 바코드 여덟자리가 박혀서 평생 그 팔자대로 산다는 개념. (물론, 팔자대로 산다는게 정해진 운명대로 산다는 확정론적 세계관과 정확히 일치하는 건 아니다.) 그 바코드는 두 글자가 위아래로 기둥을 만들고, 이걸 네 개 이어 붙여서 네 개의 기둥이 되는 형태다.

사주팔자, 네 개의 기둥과 여덟 개의 글자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