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늘 빚지고 산다.

얼마전 돌아가신 박경리 선생님이 살아 생전 하셨던 말씀 “우리는 자연의 이자로 살아야지 원금을 까먹으면 끝이다” 이 연장선상에서 부동산 문제를 보자 부동산 투기가 왜 나쁜가? 부동산 투자로 생기는 차익은 결국 우리 후세들이 경제활동에 써야 할 돈을 미리 빼먹는 야비한 행위거든. 자, 보자고 예를 들어, 부모님이 30여년 전 결혼하실때 천만원을 주고 이 집을 샀다고 하자. 그런데 우리집 … 더 읽기

금쪽같던 바나나가 왜 그렇게 헐해졌는지 알았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이라면 단연 포도와 바나나 포도는 손이 보라색으로 물들고 산성 즙으로 이빨이 시릴만큼 , 바나나는 속이 더부룩하게 불러 올 때까지 미련스럽게 먹어대던 과일이다. 포도는 차치하고 나 초딩 적에 바나나는 상당히 고급 과일이었다. 아직도 내 머릿속에서 한 편의 UCC처럼 재생되는 바나나에 대한 기억이 있다. 주인공은 초등학교 3,4학년 정도. 운동회를 앞두고 어머니가 바나나를 사 주신다고 … 더 읽기

짝사랑의 본질, 이강형 교수님과의 문답

지리산으로 학과 엠티에 갔다오신 이강형 교수님한테서 문자가 왔다 애들 연락처를 물으시며 두어번 문자를 주고받다 이런 쪽지를 보내셨다 삶은 짝사랑이야  내사랑의 분량과 무게만큼 다가오는 그런거 -(답장) 짝사랑 경력은 저도 만만치 않지만, 일단 요 말씀은 저장해 두고 곱씹어 보겠습니다. 세상이 늘 등가교환원칙에 따라 움직이는건 아니겠지요 짝사랑의 본질이 너는 뭐라고 생각하냐 – 자기만족입니다.  상대에게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붓는 자체로 보답받는 것이지요. … 더 읽기

‘부치지 않은 편지’ 의 두 가지 종류

그대만큼 사랑스러운 사람을 본 일이 없다 그대만큼 나를 외롭게 한 이도 없었다 이 생각을 하면 내가 꼭 울게 된다 그대만큼 나를 정직하게 해 준 이가 없었다 내 안을 비추는 그대는 제일로 영롱한 겨울 그대의 깊이를 다 지나가면 글썽이는 눈매의 내가 있다 나의 시작이다 그대에게 매일 편지를 쓴다 한 구절을 쓰면 한 구절을 와서 읽는 그대 … 더 읽기

광우병, 결국 고기 소비를 줄이라는 신호

중국인 폭력 시위사태가 최고 이슈더니, 먹는 문제만큼 무서운 건 없는 건지 요 며칠새 광우병이 다른 사안들을 압도했다. 저번주 금요일 신방과 후배한테 시위참여 문자가 왔다. 우리 이전의 선배들이 우리에게 해줬던 길잡이 역할을, 그 동안 우리가 못했더니 이젠 후배들이 해 주는구나. 아, 잠깐.  물론 시위나 집회참여, 공개적 의견 표명 등이 항상 올바른 길을 보장하는건 아니다. 옳고 그름의 최종 … 더 읽기

관계에도 에프터 서비스가 필요하다.

어제는 4월의 마지막 날. 지구 온난화로 사계절 경계가 흐려지는 요즘 봄날의 마지막이라 할 수 있는 점심을 자율전공 새내기와 함께했다. 작년, 내가 학생회장 할 때 자율전공 애들이 오면 알콩달콩 재미나게 살아봐야지~~ 했으나… 06학번 자율전공생은 단 한명도 오지 않았따… … …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 자율전공을 대상으로 학과 홍보를 나섰지. 당일 반응은 그닥 열렬하지 않았는데, 예상외로 올해는 … 더 읽기

봄날의 점심, 초록 빛에 눈 멀어도 좋을 그 시간!

꽃이 만발하면 함께 먹자구요 그러면 무섭도록 정이 들어요 덩굴꽃이 담장을 넘으면 미울 지경이예요 오 오 탄식하며 주저앉아 울어요 물이 든 길을 걸어 오르면 당신의 간소한 식탁이 가장 화려해요 무엇보다 당신의 발놀림이 음악이어서 가난한 어깨 무거운 줄도 몰라요 푸른 것을 씻고 붉은 것을 그 위에 놓아 나르는 당신은 요술을 부리지요 앉아서 기다리고 있으면 입 속에서 소리를 … 더 읽기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

4`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깁 붐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 더 읽기

짱돌이 무겁다면 투표지를 들어라

‘토플책을 덮고 바리게이트를 치고 짱돌을 들어라’ ’88만원 세대’ 의 부제목을 좀 빌려왔다. 오늘(4월 8일) 중앙일보에 ‘미국 영파워 투표열기…’ 란 기사를 보고 느끼는 바 있어 긁적여 본다. 기사를 보면, 펜실베이니아대 학생이 주소를 캠퍼스로 옮기는 행정절차에 하루를 소비하면서도 유권자 등록을 했다. 이런 영파워 돌풍으로 힐러리의 우세지역이던 펜실베이니아주 경선이 예측 불허, 힐러리와 오마바는 등록금 공약 같은 젊은이들의 관심사를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