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장의 편지] 5. (분노하지 않는) 좋은선배 증후군 2009-02-17

자판기에서 커피를 눌렀는데 컵에
밍밍한 물, 달달한 설탕, 부드러운 크림만 나온다면?
우린 분노할 겁니다.

왜 쓴 맛을 내는 커피가 안 나오냐고!

네, 우린 그런 식으로 달콤한 선배들만 주루룩 나오는 작금의 상황에 분노해야 합니다.


“밥 사주는 선배 말고, 쓴 소리 하는 선배가 없을 때 신방과란 조직은 끝이다”
– 07년 선장과 최 일등항해사의 대화 中

09학번 아니라 다시 한 세기 흘러 99학번이 들어와도 삼월의 식권 자판기 역할을 기꺼이 청하는 선배들은 영속할 듯 합니다.

반면 시큼 텁텁한 잔반통 역할을 할 쓴소리 선배들은 이미 멸종위기에 처했습니다.

밥 사주고 웃겨주며 좋은 선배 되고 싶지, 쓴소리 신소리 하며 별 이상한 선배로 뒷담화에 오르고 싶지 않은게 인지상정.

바로 여기에 멸종원인과 보호해야 할 이유가 다 들어있습니다.

인기 식권 자판기는 누구나 하고 싶어 하지만 시큼한 잔반통은 기피보직이죠.

하지만 쓴소리한다는 자체가 ‘나쁜선배’의 리스크를 감내할 만큼 후배나 조직을 생각한다는 방증이거든요.

물론 선배가 생각하는 옳은 길이 후배에게도 언제나 옳을 수는 없습니다.

선배의 기준과 후배의 기준이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되, ‘의견차이’는 ‘의견없음’보다 낫다는 걸 생각해야 합니다.

90퍼센트가 넘는 찬성률의 북한 정치보다, 망치와 전기톱이 등장하는 51퍼센트 찬성률의 남한 정치가 더 민주적이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습니까.

하나의 의견에 반대 의견이 더해져서 정반합의 변증법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믿기에 남한 정치가 더 민주적이며 더 발전가능성이 높다고 이야기합니다.

음… 이건 사회교과서에 나오는 이야기라 재미없나요?

그럼,
이승환이 이렇게 노래했죠 “너무많은 이해심은 무관심 일 수도 있지”

선배 된 도리로서 쓴 소리를 두려워해선 안 됩니다!

먼저 온 자, 먼저 안 자, 먼저 느낀 자로서 옳다고 하는 것을 가르쳐 줄 의무가 있습니다.

저도 천성이 물에 물타는 사람인지라 맘에 품어두다 유통기한을 지나 시큼해진 쓴소리들을 폐기처분 했던 적 많지요.

하고 싶은 말이 턱까지 차 오르다 다시 내려가기 일쑤인데, 그나마 입으로 뱉었던 몇 번의 쓴 소리에 대해 후회는 없습니다.

다만 ‘그 전달 방법이 좀 더 세련되었더라면’ 하는 반성은 합니다.

과방 정리정돈(청소까지도 아니고)은 당연한 것이고, 함께 쓰는 의자에 발 올리는 것은 무례한 짓이며, 컴퓨터는 쓴 사람이 꺼야함이 마땅하지요.

강의실에서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해도 나무라는 선배 하나 없습니다.

한 번은 10명 남짓 듣는 전공수업에 후배들이 하도 안 들어와서 전화 한 적이 있습니다.

교수님은 일주일에 한 번 수업하러 경산에서 오시는데, 예의가 아니다 싶을 만큼 출석율이 저조했지요.

강의실에선 기본적으로 ‘내가 더 편한 쪽’ 보다 ‘남이 덜 불편한 쪽’으로 행동하는게 옳습니다.

한 번은 상의할 게 있어 문자로 후배를 불렀는데 수업 중에 버젓이 나오는 모습을 보고 나무랐던 적이 있습니다.

난 75분 강의를 못 기다릴 만큼 인내가 박약한 사람은 아닌데.

수업 중에 전화기를 꺼 놓는 건 지금 세태에선 무리한 요구일까요?

강의실에서는 자신의 펀의를 위한 행동이 같이 수업 듣는 수십 명의 학습권을 담보해도 될 만큼 불가피한 일인지 돌아봐야 합니다.

혹은 선배가 일깨워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모범적인 모습도 선배의 의무입니다.

4.9제, 5.18, 등록금문제, 학생총회 등등 개그요소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퍽퍽해 보이는 일들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주변에 재밌는 선배, 같이 잘 노는 선배 외에 다른 어떤 선배가 있는가,
그리고 나는 어떤 선배인가 생각해 봅시다.

이번 편지는 낯 간지러운 꼰대의 이야기로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

의도적으로 치우쳐서 쓰고 다시 균형을 잡지도 않았습니다.

반론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총대와 십자가를 매고 후배님 목에 방울 달러가는 ‘나쁜선배’가 살아남아,
신방과의 미각을 건강하게 유지해 주기를 바랍니다.

05.창기 옳은 소리 댓글 1번. 2009-02-17
16:50:17 

김형석 복협 새내기들에게는 제가 쓴소리를 할께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 2009-02-17
17:43:07 

손일수 … ‘유통기한 지나 시큼해진 쓴소리를 내뱉지 못하고.. 삼켜서 식중독에 걸려 혼자 아파하는’ …

한 사람으로서 ‘나쁜선배’는 분명히 필요합니다.

다만, ‘나쁜선배’가 유통기한이 지나도 한참 지나버린 ‘권위의식’을 등에 업는다면 식중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살랑 부는 봄바람을 ‘황사’로 변화시킬 염려가 있다는 점에서 분명 경계해야 할 부분도 있습니다.

… ‘후배님 목에 방울 달러가는 나쁜선배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방울 다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맡겨버린’ …

”좋은선배’의 한사람으로서 대학생활의 멘토가 되어주는 ‘좋은선배’도 점점 보기 힘들어지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친한선배’가 ‘좋은선배’의 무조건적인 충분조건은 될 수 없습니다.

이번 오티에서 교수님이 새내기에게 대학선배를 ‘인생의 멘토’로 여기라고 말씀하셨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새내기에게 ‘경대리아’가 어디고 ‘공부의 즐거움’이 어디에 있는 지 알려주는 것은 대학생활에 유용한 것이겠지만, 북문 대강당 앞에서 사회대 앞으로 이전하는 이재문/여정남 열사의 비와 인혁당에 대해 얘기를 해주는 것은 중요한 것입니다.

‘나쁜선배’가 누릴 수 있는 선배로서의 ‘권리’와 ‘좋은선배’가 해줄 수 있는 선배로서의 ‘의무’를 함께 생각할 수 없다면, 적어도 선배라는 말을 만드는 ‘먼저 선(先)’자의 의미를 생각할 수는 있어야 합니다.

졸업을 하면서도 준희형이 편지를 띄우는 모습에 휴학을 변명으로 학번과 학년을 핑계로 모습을 감추고자 하는 스스로를 반성해봅니다.

2009-02-17
21:14:05 

김형석 무슨 말이고? 쉽게 쉽게 말해라~ 알아듣겠나~이래말해서 ㅋㅋ

쉽게 후배들이 알아듣게 하는 것도 선배로서의 도리아니겠니?ㅎㅎ

일수 니도 밥은 먹고 다니나~?

2009-02-17
22:39:04 

심홍섭 저도, 가끔 후배에게 쓴소리 해야 되겠지요? ㅎ

모두를 포용해야 하는 사람으로서;;;


그래도 저도 사람 성격이 성격인지라

호태형님 처럼 대놓고 ‘왁!’은 못할것 같네요;;;

이건 딴소리인데…;;;
요새 세상이 변했잖아요 ㅎ
제가 새내기일때만해도 ‘선배’이랬는데 지금은 ‘형님’이러고…
‘형님’은 복학생들만의 전유물이었는데…큭…;;;
(나름 복학해서 자연스럽게 형님이라고 부르고 싶었는데 ㅋ)

뭐, ‘형님’이 더욱더 친근감 있고 좋긴 좋지요. ㅎ

뭐 이제와서 ‘이래라~ 저래라~’는 아니지만,
저또한 선배로서, 회장으로서 후배들에게 ‘쓴소리’를 해주고 싶으면 서로서로 얼굴 알고 하면 ‘먼저 인사 좀 합시다’
멀뚱멀뚱 보지말고…ㅡ_ㅡ

인사안하니깐 ‘누가 버릇이 없네’ ‘쟤 뭐야?’ 이러면서 뒷담화가 이루어지는 거죠. 사실은 그게 아닌데..ㅡ_ㅡ


(요새 말이 완전 많아져서 딴 얘기로 잘 새어버리네여;)


어쨌거나, 형님의 편지는 동감합니다!

달콤하고 맛있는 것만 먹을 수 없잖아요.
쓰지만 몸에 좋은 것도 먹어야지..ㅡ_ㅡ

2009-02-18
04:13:49 

08주정경 그렇죠

달콤하고 맛있는 것만 먹을 수 없잖아요.
쓰지만 몸에 좋은 것도 먹어야지..ㅡ_ㅡ

2009-02-18
10:33:52 

더지 내가또 엠티가야하나..ㅡㅡ 2009-02-18
20:17:20 

이용호 나쁜선배
= 쓴소리 하는 선배
= 2006년 과엠티때 뒤짐지고 ‘개XX’등을 난발한 선배
= 01학번 신동진

나쁜선배
= 쓴소리 하는 선배, 정치 얘기하는 선배
= 2005년, 03학번 종강파티한다고 신나게 놀고 있는데
백일휴가 나온 주제에 술자리 분위기 이상하게 만든 선배
= 01학번 이용호

나쁜선배
= 잘못을 가르켜준답시고 권위의식에 가득찬 선배
= 2001년 선배들한테 개긴다고 소운동장 돌린 선배
= 95학번 김성진, 99학번 박병복 선배

나쁜선배
= 맨날 후배한테 욕이나 하는 선배
= 95학번 이준엽 선배

나쁜선배
= 과방 더럽다고 청소 좀 하자는 선배
= 02학번 정재훈

나쁜 선배
= 술자리 분위기 이상하다고 학생회장보고 뭐라 그러는 선배
= 00학번 민재홍 선배


그외…

좋은 선배
= 밥 잘 사주는 선배
= 재미있는 선배
= 친구같은 선배
= 잔소리따윈 안하는 선배…etc…


뭐야….이렇게 쉽게 구분되는 거야..선배란 존재가…

p.s :
난 나쁜 선배니까….
학생회는 게시판에 선배가 댓글 달아놨으면 뭐라고
대꾸라도 해야되는거 아냐??
알아본다느니…수렴한다느니…
그냥 기분나쁘고 짜증나서…성의없게라도 “알겠습니다”라고라도..

2009-02-19
06:00:14 

이유진 나쁜선배
= 외국까지 나가서 사사건건(?) 꼬리말 달고 시비거는 선배
= 01학번 이용호 선배

엽이선배님 부분에서 뽱. ㅋㅋ 욕하는 선배가 나쁜선밴가요?
더지선배,, 우리는 다 이해해요 ㅋㅋㅋㅋㅋ

2009-02-19
21:58:56 

05.케성호 나쁜 선배 되는것도 되게 어렵네요…

저렇게 조건이 많다니 ㄷㄷㄷㄷㄷㄷ

2009-02-22
01:51:59 

심홍섭 아, 용호 형님 죄송합니다.ㅠㅠ

2009-02-22
23:19:30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