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춤 신청을 못하는 이유
살사 시작한지 일년 남짓 되었을때, 같은 주제로 정리해 둔 글이 있다. 나 뿐 아니라 대부분의 살세로(살세라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도 비슷한 이유겠지. 혹시 모를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크고, 상대가 잘 추는 사람이면 부담이라 되려 싫고.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 한국 살세로 대부분 저 두 이유로 홀딩 신청을 어려워 할 거다. 기질적으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도전적인 … Read more
2012년부터 시작한 라틴댄스 동호인의 기록
살사 시작한지 일년 남짓 되었을때, 같은 주제로 정리해 둔 글이 있다. 나 뿐 아니라 대부분의 살세로(살세라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도 비슷한 이유겠지. 혹시 모를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크고, 상대가 잘 추는 사람이면 부담이라 되려 싫고.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 한국 살세로 대부분 저 두 이유로 홀딩 신청을 어려워 할 거다. 기질적으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도전적인 … Read more
교육학, 혹은 교육계 말이란다. ‘교육의 질은 절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 취미생활 강습도 마찬가지다. 강습의 질은 절대 강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 동호회에서 강습 체계를 만드는 사람은 강사의 질을 생각해야 할테고. 강사는 자신의 전문성과 강습 방식, 강습생과의 관계 등에 대해 엄격하게 돌아봐야 할테고. 마지막으로 강습생은 좋은 강사를 찾아내는 눈이 있어야 한다. ——————————– GPT 프롬프트:’교육의 … Read more
소시민의 물질적 목표. 돈 벌어 5층 꼬마 빌라를 짓는다 치자. 3층까지 올리다가, 공사 기일 단축하기 위해 4층은 건너뛰고 5층을 짓자는 미친 사람은 없다. 아무리 성공한 소시민이라도 이건 안 된다. 4층 없는 5층은 말이 안 된다는 게 직관적으로 너무 당연하다. 그런데 빌라 같은 정형화된 결과물이 눈에 안 보이는 학습 분야에서는 4층 건너뛰고 5층 올리려는게 간사한 사람(=나) … Read more
우리 모두에게는 각자의 우상 같은 댄서가 있습니다. 우리가 동경하는 유명한 공연자들이겠죠. 하지만 그들의 팬이 되는 것과 제자가 되는 것은 다릅니다. 팬은 공연에 참석하고 소셜 미디어에서 팔로우하는 등 멀리서 댄서를 존경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제자는 감탄을 넘어 적극적으로 우상에게서 배우고 그를 따르는 사람입니다. 살사 동호인 분에게 고합니다. 팬이 아니라 제자가 되십시오. 유명 댄서의 동작을 단순히 감상하기보다는 직접 … Read more
살사를 잘 추는 사람들의 공통점 중 하나. 마치 다리가 땅에 뿌리 박힌 것 같은 느낌의 스텝을 밟는다. 누군가는 이를 낮은 무게중심이라고 표현하던데. GPT와 대화를 통해 그럴 듯한 답을 찾았다. 살사는 빠르게 걷는 장르의 춤이므로 무게 중심을 낮게 가져가는게 유리하다. 무게 중심을 지면에 가깝게 유지함으로써 골반을 더 유연하게 쓸 수 있고, 스텝의 안정성은 높아지고 제어하기는 쉬워진다. … Read more
예정에 없던, 그리 관심 두지 않고 운동하는 맘으로 들렀던 강턴에서. 지지 따냐의 아주 짤막한, 1분 남짓한 샤인과 소셜 데모를 본 느낌. ‘이들에 비하면 내 춤은 자폐 아닌가.’ 스스로 자, 닫을 폐. 파트너를 향하지 않고 나를 향해 안으로 닫혀있는 춤을 추는 게 아닌가! 반면 지지와 타냐는 서로를 향해 춤을 추더라. 샤인을 할 때는 자기 몸 밖으로 … Read more
어떤 취미 건 몇개월에서 1년 쯤 즐기면 안목이 생긴다. 처음엔 누가 잘하는지 헷갈리지만. 여러 춤이 데이터로 입력되면서 춤의 우열을 가리는 선구안이 생기는 것. 그런데, 잘 추는 사람과 못 추는 사람을 가릴 수는 있다지만. 잘 추는 사람의 춤이 어떤 점에서 뛰어난 건지. 그 요소까지 발라낼 수 있을까? 마치 대회 심사 배점표 같이, 춤의 질은 1번 항목 … Read more
살사 동호회에서 포스터 제작을 위해 이미지 클립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제 이것도 인공지능이 해결해준다. 아래 1번 그림은 제주살사페스티벌 배경으로 쓰거나, 최소한 시안 작업에 활용하기에 충분한 퀄리티 아닌가. 저걸 바로 수정하는 기능도 제공해 주니. 이제 인공지능이 취미생활에도 영향을 주는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