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조금 더 많은 사람이 조금 더 행복해지도록 내가 머물던 곳을 조금 더 살만한 곳으로 만드는 것 그렇게 조금 더 조금만 더 그럼, 당신의 꿈은?
조금 더 많은 사람이 조금 더 행복해지도록 내가 머물던 곳을 조금 더 살만한 곳으로 만드는 것 그렇게 조금 더 조금만 더 그럼, 당신의 꿈은?
“그러게 말야” 지원은 맞장구를 쳤다. 그러나 진심으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 그녀와 대화하다보면 가끔 그런 순간을 맞닥뜨리게 된다. 그것은 복숭아를 자르는 것과 비슷하다. 겉은 부드럽지만 어떤 지점에 이르면 더는 날이 들어가질 않는다. 진짜 감정은 딱딱하게 응결된 채 부드러운 과육 아래에 숨겨져 있는 것이다. – ‘퀴즈쇼’ 14쪽, 김영하 심리학 석사과정 중인 완돌이의 말이 떠올라 … Read more
책 제목 : 유시민을 만나다저자 : 지승호정가 : 10000원 (할인가 : 원)출판사 : 북라인출간일 : 2005. 06. 15 여기 다른 사람 인터뷰만 해서 먹고사는 사람이 있다.바로 국내 최초의 전업 인터뷰어 지승호. 장하준 교수를 인터뷰한 ‘한국경제, 길을 말하다’ 를 시작으로 그가 쓴 인터뷰집의 대부분을 읽고 있다.서로 주고받는 대화 형식이라 한결 읽기가 쉽거든.장하준 교수가 직접 쓴 … Read more
“경영자로서 나의 목적은 인간과 자원을 결합하여 개인이 만들어 낼 수 없는 가치를 창조함으로써 더 큰 선(善)에 봉사하는 것이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졸업생의 자발적 경영학 선서 첫머리출처 : 경향신문 8월 27일, ‘경영학석사 선서’, 김우창 ‘기업이란 조직을 만든 이유는 개인으로는 이룰 수 없는 사회이익을 달성하기 위함이며,기업의 최대 목적은 사회 공공의 이윤추구가 되어야 한다’는 글의 소재로 써야지
책 제목 : 한국교회 이렇게 달라져야 한다저자 : 조엘박정가 : 8800원 (할인가 : 7920원)출판사 : 박스북스출간일 : 2008. 11. 01 자세히 보기 : http://openapi.naver.com/l?AAAC2OywqDMBREv2bcFMRXbLLIIi9/o2iTotQ2VmLBv29ihbs4zJyBG/bF8cH7Z7ZNlpOWkTb7bG7dOYwGI2AKRkASCH0CK45KgKoLjALTkA2MhChAr4dU/TsJGlOVIEkq2VGS9JiRmGTj6h58DGFBLVB18dIz+bv/ujW/+9cZ2OGEm3Whn+Z8GeOiGyaLWpOyLJuC/QCViicCywAAAA== IMF 이후 신자유주의 물결이 넘실넘실 믿었던 직장은 위태위태 2000년대 들어서면서 고용 안전성, 높은 임금, 낮은 업무강도의 삼박자를 갖춘 일부 공기업 등을 지칭하는 신조어로 ‘신의 직장’ 이 등장했다. 처음 … Read more
Hate that I love you 누나 노트북에서 들려오는 노래 누구의 미니홈피 배경음이라 그래 그 시간 지나도록 아직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못해 낭패 Hate that I still love you 쳇쳇쳇!
지금, 오늘날 한국에서 행복해하는 자는 다음 두 부류 중 하나다. 하나는 도둑이고, 하나는 바보다– 조세희, 난쏘공 30주년 기념회에서 어디서였지?‘한국 사회에서 일정이상의 부를 축적한 사람은 도둑일 수 밖에 없다.우리 사회는 그 만큼의 부를 만들기 위해 필연적으로 부정부패를 저지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는 글이 있었는데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간만에 몸을 떨어대는 내 휴대시계 “준희 전화 맞나요?” 문자란 것이 도착했다 “정확합니다” 반가운 맘으로 답장을 했다. 이번에는 같은 번호로 전화가 걸려온다. 뉘실까? 여보세요~ – 야, 나야 준건이! 어어! 때는 바야흐로 영남고 2학년 시절 학교 강당 2층 세면 바닥에 장판 한 장 깔아놓고 비공식 댄스 동아리를 만들었다. 이름하야 강당크루! 이름을 그렇게 지은 … Read more
며칠전 우리나라 정치계에서 큰 일이 있었지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면접관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노무현 대통령 때와는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분명 우리나라 정치역사에 빠질 수 없는 인물이지만, 저희 세대 정치인이라기보다 아버지 세대 정치인이라는 느낌입니다. 반면 노무현 대통령은 우리 손으로 만든 대통령이기에 감정적 파장이 더 크지 않았나 합니다. 당시 정치인의 죽음을 슬퍼할 수 있다는데서 우리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