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 마종기
낚시시질하다가 찌를 보기도 졸리운 낮 문득 저 물 속에서 물고기는 왜 매일 사는 걸까. 물고기는 왜 사는가. 지렁이는 왜 사는가. 물고기는 평생을 헤엄만 치면서 왜 사는가. 낚시질하다가 문득 온 몸이 끓어오르는 대낮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고 중년의 흙바닥 위에 엎드려 물고기 같이 울었다. 최근에 알게된 시인데 좋아서 올려~
낚시시질하다가 찌를 보기도 졸리운 낮 문득 저 물 속에서 물고기는 왜 매일 사는 걸까. 물고기는 왜 사는가. 지렁이는 왜 사는가. 물고기는 평생을 헤엄만 치면서 왜 사는가. 낚시질하다가 문득 온 몸이 끓어오르는 대낮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고 중년의 흙바닥 위에 엎드려 물고기 같이 울었다. 최근에 알게된 시인데 좋아서 올려~
“재산이 탐나서가 아니라 정의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 ‘지식e채널 4편 스피노자 편에서’ 부친이 남긴 유산을 여동생과 처남이 모두 착복하자 소송을 걸면서 스피노자가 했던 말 실제 재판에서 승소한 뒤 다시 모든 유산을 동생에게 줘버린다. 이렇게 엄하면서도 쿨한 오빠가 있다니!!
나는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그 의견 때문에 박해를 받는다면 나는 당신의 말할 자유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입니다. – 볼테르 (1694 ~ 1778, 프랑스 계몽 사상가)
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그 돈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먹을 것과 입을 것과 온기가 필요하듯
실패는 그 자체로는 값진 것이 아니다. 그로부터 무언가를 얻어낼 수 있어야 가치를 가진다. 보통 그 가치를 캐내는 과정은 쓰고 시다. 냉혹한 자기반성이 따라야하는 과정
실패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실패의 발견이 필요한 것이며, 실패가 값진 것이 아니라 실패의 교훈이 값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334쪽
여자는, 한 번 부르면 모르는 척하고 두 번 부르면 돌아보고 세 번 부르면 얼굴을 기억하고 네 번 부르면 마음에 담아요 – 전대 신방과 정혜리 10번 찍어 안 넘어가는 여자 없다는 이야길 역설하던 정혜리. 내 일기장에서 발췌
분하고 화나고 억울하고 고맙고 미안하고 기다리고 집착하고 좋아하고 생각하고 이별하고 잊어가고 결국에는 한가지 말이지… 사랑 – 조현준, 영남고 50회 졸업생이자 3학년 2반 시절 내 짝꿍 역임, 현 실트론 근무
우리말의 관용과 정확히 뭐가 다른지 아직 모르겠지만, 똘레랑스라는 프랑스산 단어가 꽤나 유행이던 적이 있다. 손석춘씨 강연에서 본 영상이었지. 프랑스에선 파업에 따른 피해를 일반 시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질문에, “이해하죠, 우리도 언젠가 그런 입장에 설 수 있거든요. 우린 다 노동자니까” 이렇게 답했던 것 같다. 우리도 누구나, 언젠가 사용자의 눈치를 보는 사회적 약자에 놓일 수 있잖아. 불편을 끼쳐드린데 대한 … 더 읽기
누구의 죄도 아니라고 봐요. 당신을 좋아한 나도. 거절해 준 당신도 누구든 상대의 허락없이 좋아하게 되는 일이 생기잖아요. 그러니 이해해줘야 해요. 그것 때문에 누가 날 귀찮게 해도. 다음에 내가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할 수도 있으니 – 양념게장님의 612번째 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