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어가는 등_내 몸을 객관적으로 바라 보기
다들 서로 잘 나거나 잘 나야만 버틸 수 있는 자의식 과잉 시대라.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자기객관화/메타인지라는 개념도 유행처럼 번졌다. 자산, 학력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객관화 뿐 아니라. 내가 항상 달고 움직이지만 정작 인식하고 바라볼 일은 잘 없는 몸도 객관화가 필요하다. ‘내 몸은 내가 제일 잘 알지’라는 상투적인 대사가 떠오르는데, 정작 내 등은 … Read more
다들 서로 잘 나거나 잘 나야만 버틸 수 있는 자의식 과잉 시대라.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자기객관화/메타인지라는 개념도 유행처럼 번졌다. 자산, 학력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객관화 뿐 아니라. 내가 항상 달고 움직이지만 정작 인식하고 바라볼 일은 잘 없는 몸도 객관화가 필요하다. ‘내 몸은 내가 제일 잘 알지’라는 상투적인 대사가 떠오르는데, 정작 내 등은 … Read more
복기 프로그램 영상 아직도 휴대폰 삼각대 안 샀니…..
복기 프로그램 영상 이번주도 영상 쉽니다. 삼각대 부서져서 다시 사야함.
고양이 삼남매가 있어 삼남 피크닉이란 글이 있기에 속았는데. 그냥 이 동네 이름이 삼남이더라. 이 곳 삼남매 고양이는 여기 세들어 살긴 하는데, 낯선 방문객에게 곁을 주는 애들은 아니다. 100년 된 한옥 고택을 카페로 적절히 잘 개편한 공간. 날 좋을때 중정이 최고 명당 아닐까 싶네. 여느 관광지 카페에서 볼 수 있는, 한켠에 마련된 미니 팝업 스토어. 작은 … Read more
의도했는지 안 했는지 모르나. 안도 타다오 빛의 교회랑 컨셉이 너무 빼다 박았다. 건축가니 안도 타다오를 모를린 없고. 그냥 빛의 교회를 강화도 땅에 재현했다고 해야할까. 그런데, 콘크리트 노출만 하면 모두 안도 타다오의 아류라 봐야하나. 멍때림 채플 관은 단순 노출 콘크리트가 아니라 빛을 활용한 교회라는 점에서 더 닮긴 했지만. 아기자기한 공간 구성은 굳이 안도 아재의 아류니 뭐니 … Read more
‘AI를 전사적으로 활용해 업무혁신을 일으킨다.’ 멋진 소리고 경영자라면 누구나 숨쉬듯 생각할 구상이다. 하지만, 구현하는 퀄리티에 따라 모택동이 문화대혁명 때 온 마을 식기까지 꺼내 녹여 만드는 용광로 수준이 될지. 혹은 전세계가 안 된다고 비웃었지만 지금은 전세계 철강 리딩 컴퍼니가 된 포스코가 될지. 가 봐야 안다. 우리 회사에서 AI를 전사적으로 적극 도입하면서 직원들의 볼맨 소리가 많았다. 아니, … Read more
재즈바에 가서 와인을 시켰다. 당연히 와인 문외한인 내가 모르는 와인이 나왔고. 자연스레 뭔가 싶어 ChatGPT 앱으로 찍어서 물어봤다. 원산지나 특성, 개략의 가격이 나왔다. 이제 더 이상 라이트한 유저들에게 왜 와인 앱이 필요한가? 한참후에야, 한때 내가 비비노(vivino)라는 와인 앱을 깔아서 라벨을 스캔해서 정보를 얻던 시절이 떠올랐다. 어차피 가볍게 정보를 얻고 싶은 사람은 GPT 만으로 충분하다. 이제 … Read more
함덕에 몇년째 가면서, 이 일대에는 왜 사우나랑 일일권 헬스장이 없냐고 아쉬워했는데. 예상 외의 장소이 이 모든걸 갖춘 올인원 헬스사우나장이 있었다. 바로 함덕에서 가장 큰 숙박시설인 소노벨(구. 대명리조트). 그런데, 가성비를 따져보면 함덕 일대에서 그리 유명하지 않을 법도 하다. 사우나 대인 1만 4천원에 헬스장 이용시 3천원이 추가되어 1만 7천원인데. 사우나는 호텔급이 아니고, 헬스장은 동네 목욕탕 빌트인 급이다 … Read more
나는 자랑스런 동작구민이다. 지난 6월 10일 서류를 우편(정확히는 편의점 등기)으로 보냈고. 6월 27일 오늘 오후 4시경 ‘환경과’ 이름으로 80만원이 입금되었다. 먼 훗날. 내가 은행 입금내역을 보다가 ‘환경과 80만원’으로 찍힌 내역을 보고 과연 이게 친환경차 지원금이란걸 떠올릴 수 있을까. 여튼 신뢰의 상징, 공무원 일처리 답게 약속대로 ‘2~3주 후’라 볼 수 있는 2.5주 후에 입금이 완료됐다. 이 … Read more
제주살사에서 베르시 같은 유력 해외댄서들 워크숍을 듣다 느낀 점. 이 춤, 에너지가 8할이네. 물론 한국으로 초청 받아 올 정도면 기술적 완성도나 캐릭터의 오리지널리티도 뛰어난 건 당연지사겠지. 즉 기본은 되어 있는데, 그들이 왜 그렇게 더 빛나 보일까. 그에 대한 해답을 ‘에너지 ‘라는 개념에서 찾은 것. 그들이 보이는 에너지가 국내 강사를 넘어선다는 느낌. 그리고, 같은 개념으로 살사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