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박스 보라매 vs. 짐인더하우스2

도보 5분 거리, 329m 떨어져있는 두 헬스장. 근데 짐인더하우스2는 저기가 입구가 아닌디… 건물 뒤편으로만 들어갈 수 있어 동선이 좀 복잡하다. 건물은 진입이 편해야하는데. 건물주의 판단인지… 저기 건물 입구에 원래 있던 작은 통로를 막고 상가로 활용하려나 본데. 심정은 이해하겠으나 결국 통로로 두는게 저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길일텐데… 나라도 선뜻 통로 면적 만큼의 임대소득을 포기하기는 어려울 듯. … Read more

당신의 덕질은?

덕질을 키워드로 모인 스터디 첫 모임 뒤풀이에서, ‘당신의 덕질은 무엇인지’라는 질문을 받았다. 근데 그 자리에서 다른 분들 이야길 들어보니. 남들처럼 깊고 강렬하게 좋아한 대상은 없다는 생각이 드는겨. 굳이 꼽자면 중학교 시절 PC게임에 미친듯 빠지긴 했는데. 그때 당시 내 친구들은 다 그랬던걸 보면 그냥 중학교때 수학 배운다 정도의 너무 뻔한 이야기인 것 같고. 그래서 ‘강렬하게 좋아한 … Read more

명리의 해석, Text vs. Context

명리는 개인사를 풀이하는 동양철학 방법론의 하나로 보는게 적합하지 않을까. 누구는 주류에서 인정받지 못한 학문이라고도 하고. 일부 대학에는 명리학과가 있긴 하지만, 현 시점에는 학술적 체계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고. 조선시대에는 3년 마다 명리학자를 일종의 기술직으로 채용하는 TO가 있었다고 하니. 요즘으로 치면 기술직 공무원. 굳이 비슷한 걸 찾자면 하늘의 기운이 땅에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기상청 공무원 정도가 … Read more

헬스장 20년 변천사

생애 첫 헬스장 결제가 군대가기 두달 전인 21살때였으니. 헬스장에 돈을 낸 기간은 얼추 20년이 넘었다. 오늘 새로 문을 연 동네 헬스장(짐박스 보라매점)에 가보니. 긴 시계열로 보면 한국의 헬스장도 꽤 많이 변했구나 싶어 기록해 본다. 지금 자리에 앉아 잠깐 과거를 복기하며 내 기억에 의존해 쓰는거니 얼마든지 왜곡이 벌어질 수 있다. 헬스클럽(헬스장) -> 피트니스클럽 ->짐 헬스장보다 더 … Read more

2023년 력도결산

출석률_36.5% 36.5%_52주 중 19주 출석. 생각보다는 높은 출석률. 전년도 평일반 출석률이 워낙 극악이라 생각보단 높은 수치. 기록_75, 95 올타임 PR은 80, 105. 과연 내년은 깰 수 있을까. 실은 수업만 꼬박꼬박 나가도 충분히 깰 수 있는 기록. 대회_안 나감 내년에는 경기도 대회 나가서 대한민국 허리의 힘. 장년 파워를 보여주자. 부상_고질적 오른쪽 어깨(회전근개) 부상과, 약하게 재발한 허리 … Read more

2023년 돌아보기_일기장을 AI로 분석하기

올해 일기장 내용을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 GPT4 프롬프트에 넣고 간단히 분석해봤다. 아직 할루시네이션 때문에 엉뚱한 답도 간혹 하지만, 빠르게 연말을 돌아본다는 측면에서는 재밌네. 내 일기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 (접속사, 조사 등의 빈도분석에 무의미한 것들 제외) AI – 10회 살사 – 8회 역도 – 7회 차를 – 7회 인스타그램 – 5회 확실히 내겐 AI가 한해를 … Read more

관계는 끝나도 물건은 남는다.

‘헤어진 전 연인이 준 물건을 어떻게 정리하는게 좋을까요?’ 대충 20대 청취자가 보내는 라디오 단골 사연인데. 사연을 읊는 DJ 연령대가 높을수록 답은 하나로 귀결된다. ‘쓸 수 있는 물건이면 감사히 잘 쓰시면 됩니다.’ 연인은 아니고, 전 팀원한테 받은 가습기를 올 겨울 내내 너무 잘 쓰고 있다. 방금 가습기 물통에 물을 채우면서 든 생각. 팀원분은 어딘가로 갔지만, 이 … Read more

신언서판과 이판사판

‘신언서판(身言書判)’ 당나라 시대 관리 등용의 기준이었다고 하고,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눈에 보이는 몸을 보고, 이어서 말을 보고, 그 다음엔 글을 본다. 그런데 그 모든 것이 결국 그 사람의 판단력을 보기 위함이다. 판단력은 눈에 쉬이 보이는 능력이 아니므로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 같이 몸과 말과 글을 보는 것이다. 그 당시엔 고위관리가 그 세계관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 Read more

팔자대로 살까? 결정론 vs. 운전론

“다 자기 팔자다” 일반인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사주팔자에 대한 가장 유명한 관점이다. 어느정도 체념이 섞인. 그럼 사주를 공부하는 사람은 사주에 의해 한 사람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믿을까? 여기저기서 배운사람들 귀동냥을 해보니. 명리학 학파마다 조금씩 다르더라. 어느 곳은 결정론이 8할이라는 곳도 있고, 또 다른 곳은 그 반대로 2할 남짓이라는 곳도 있다. 다만, 어느 학파건 문자 그대로 완벽한 … Read more

사주팔자, 네 개의 기둥과 여덟 개의 글자

사주팔자는 단어 그대로 네 개의 기둥과 여덟글자란 소리다. 사람이 특정 시간에 딱 출생하면, 탯줄이 끊어짐과 동시에 하늘에서 부여받은 바코드 여덟자리가 박혀서 평생 그 팔자대로 산다는 개념. (물론, 팔자대로 산다는게 정해진 운명대로 산다는 확정론적 세계관과 정확히 일치하는 건 아니다.) 그 바코드는 두 글자가 위아래로 기둥을 만들고, 이걸 네 개 이어 붙여서 네 개의 기둥이 되는 형태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