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_김시덕
책이 전하는 간접 경험은 인식과 이해의 범위를 넓혀준다. 이 책은 내게. 좁게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 도민의 맘을. 넓게는 이주민/철거민/혹은 그 둘이 되지 않기를 바라며 끝까지 저항하는. 누군가는 알박기라 하고 또 누군가는 데모꾼이라 하는 이들까지 어느정도 이해할 토대를 만들어 줬다. 정확히는 이 한 권 뿐 아니라 이 책 저자인 김시덕 박사와 함께한 답사 모임 덕이겠지. … 더 읽기
책이 전하는 간접 경험은 인식과 이해의 범위를 넓혀준다. 이 책은 내게. 좁게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 도민의 맘을. 넓게는 이주민/철거민/혹은 그 둘이 되지 않기를 바라며 끝까지 저항하는. 누군가는 알박기라 하고 또 누군가는 데모꾼이라 하는 이들까지 어느정도 이해할 토대를 만들어 줬다. 정확히는 이 한 권 뿐 아니라 이 책 저자인 김시덕 박사와 함께한 답사 모임 덕이겠지. … 더 읽기
관악 동네 역사_관악도서관에서 전자책으로 보기 신림동, 봉천동 거주 12년차. 이정도면 신림 봉천을 제 2의 고향으로 불러도 되지 않을까? 내가 발 딛고 지나는 이 동네 역사 서적이 나와 전자책 도서관에서 빌려봤다. (관악도서관에서 330일째 연체하는 사람이 있던데. 역설적으로 정말 관악구를 사랑하는 구민은 아닐까.) 주요 연혁 전에는 경기도 시흥군 동면(현재 시흥시와는 연결성 없는 구 시흥군) 63년 서울시 영등포구로 … 더 읽기
안보가 국토/도시 계획의 키 박정희-전두환 군사 정권. 아니 더 이전 이승만 정권까지 포함해. 한국 도시와 국토 계획은 안보가 핵심이다. 전쟁 끝난지 70년이지만. 아직 대규모 국토계획은 안보라는 키워드를 넣고 해석해야 풀리는 문제집 같다. 이번에 다녀온 곳은 삼송. 크게 세 영역이었다. 용사촌 북한과 70년대 수교가 활발해질 때 활용하려 지은 선전마을 삼송 원주민이라 할 수 있는 부락 삼송의 … 더 읽기
경쟁은 항상 피곤하다. 그래서 배울게 있다. 첫 대회가 2018년 경기도의회 의장배, 두 번째가 문곡서상천배. 그리고 이번 세 번째 배움을 기록해 본다. 첫 입상_존버는 가끔 상을 준다 자랑하기에는 좀 부끄러운 입상이다. 만 40세 이상 시니어 부에 같은 체급으로 총 3명 출전해 2등 했다. 원래 내 앞 두 분 기록이 압도적으로 높은 데 한 분이 아마 용상에서 … 더 읽기
태어나 한 번도 본 적도, 그러므로 생각한 적도 없다. 경유가 휘발유 보다 비싸지는 걸. 그냥 원래 그런 건 줄 알았고, 영원히 그럴 줄 알았다. 매일 지나는 집 앞 주유소에서, 경유가 더 비싸진 가격표를 보며. 영원한 건 거의 없단 걸 새삼 깨닫는다. 다음에는 또 어떤 내 상식이 깨질까. 그때 난 미리 알아챌 수 있을까. 대응은?
타인의 결정 중 퇴사와 이혼은 무조건 응원하는 편이다. 충분한 고민을 했을 테고. 적어도 지금보다는 나을 거라는 판단하에 내린 큰 결심이기에. 결혼이나 취업을 ‘한다’라는 결심보다, 출근과 결혼 생활을 더 이상 ‘하지 않는다’는 결심의 무게가 더 큰 게 대부분이더라. 응원할 지인이 많아지는 요즘이다.
제주 3박 4일 여정을 그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해 둔다. 코로나 오기 전, 2019년 6월 제주가 마지막이었으니, 3년 만의 출동이다. 보일러실에 방치한 여행가방을 꺼내본다. 날아오른다. 이제 키오스크 티켓 발권이 너무 당연해져서. 수화물을 부치지 않는 이상 항공사 데스크에 갈 일도 없다. 도착지인 함덕 해변이 비행기 창가로 보인다. 제주공항 항로가, 제주도를 우측에서 좌측 … 더 읽기
트레바리 모임으로 나간, 일종의 신도시 예정지 임장 후기(가 전혀 아니다) 1. 신도시 개발로, 기존 마을을 허물 때 사료로 가치 있는 건물은 다른 곳에 복원해 두기도 하나보다. 마치 삽으로 떠서 건물 하나를 그대로 이전하는 개념은 건축가 입장에선 해당 시대 건축 양식을 온전히 살리는 거지만, 도시학자 입장에서는 마을에서 그 건물이 놓인 맥락이 제거되기 때문에 온전한 의미의 보전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