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쓰면 아무도 안 읽습니다.

이 책은 제목을 보고 각성하는 것 만으로도 책 값을 한다. 이 책의 제목 ‘그렇게 쓰면 아무도 안 읽습니다’는 UX 라이터가 실무를 할 때 자주 하는 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짓게  되었다. UX에서 라이팅은 단 두가지 목표에 충실해야 한다. 1. 사용자의 목표달성 2. 목표에 닿기까지 훌륭한 경험제공 UX 라이팅은 오로지 사용자의 목표 달성과 훌륭한 사용 경험을 위한 … Read more

모임을 예술로 만드는 법

책의 뒤편 날개에 적힌 ‘성공하는 모임의 10가지 조건’이 정수다. 그 중에서도 1번이 알파고 2,3번이 오메가다. 모임의 진짜 목적을 정하고, 이를 위해 호스트가 적극 개입해 할 것과 말 것을 정하고 실현해 나간다. 친구 집들이, 동호회 동기들끼리 커피타임. 그 모든 모임에 why를 붙이자. 핵심 재료 중 하나는 특수성이다. 모임 목적이 더 한정적이고 더 구체적일수록 더 촘촘한 모임 … Read more

운명은 확정론적 세계관네 집에 거는 명패가 아니다.

사주명리학에서 운명은 확정론 개념이 아니다. 운은 운전하다 할때의 그 운, 즉 오퍼레이션이고. 명은 하늘의 명령. 즉 하늘에서 내려오는 피할 수 없는 내용증명이다. 내 앞으로 송달되는 명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게 운명이다. 각 시기별로 내게 주어질 하늘의 명을 살펴 어떻게 운신할지 궁리하는게 사주다. 궁즉통이라고, 어떻게든 수를 내 보려는 극동아시아 인간들의 발버둥이 수천년을 보내며 나름의 체계를 갖춘 … Read more

21세기에 퇴치할 마귀 리스트, 퇴마록

퇴마록은 고전인가? 시간의 체를 통과해 살아남는 수작을 고전이라 했을때. 퇴마록은 고전인가? 고전 순수 문학이 아닌 장르문학의 체로 친다고 했을때 수작일 수 있나? CPU 같은 기계기술 발전은 일직선이라, 30년 전보다 지금 제품의 스펙이 뛰어날 수 밖에 없다. 30년 전 cpu는 현재의 실질적 효용은 없고 상징성 때문에 수집의 효용 정도가 있을뿐. 그렇다면 퇴마록은 지금 읽어도 재밌는 장르문학작품일까? … Read more

The Pricing, 가격이 모든 것이다.

가격전략을 수립하고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3가지가 필요하다. 일단 진짜 고객에게 가치가 있는 상품이어야 하고. 그걸 고객에게 잘 알려야 하고. 그 가치를 유지해야한다. 가격 전략의 불변의 진리라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다 사람들은 나에게 가격결정의 수많은 측면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수천 번도 더 물어보았는데, 그때마다 나는 ‘가치’라는 한 단어로 대답한다. 좀 더 상세한 설명을 부탁받으면 ‘고객이 … Read more

진라면 순한맛, 퇴마록

지금 보니 한강물 허여멀건 라면 당시 국내 출판물 심의 때문이었을까. 여러 사람 몸이 찢겨 살해 당하는 참극이 연이어 벌어지는데. 악령이나 악당들에 대처하는 주인공들은 지극히 착하고 미칠듯 순진하다. 특히 귀신이 알몸 형태로 나타나 제대로 쳐다보지 못해 싸우기 어렵다는 식의 반응이 여러번 나오는데. 그짓도 한두번이지 매번 그러니 짜증이 치밀 정도. 이게 유교 탈레반이란 건가. 퇴마록과 동시대 유행하던 … Read more

꾿빠이, 이상. 독서토론 단상

■ 이상의 작품 세계 멋대로 해석하기 얼추(자세히가 아닌 ‘얼추’인 게 중요하다) 몇 개 읽다보니, 일자리와 아내 두 개 키워드로 압축된다.더 날것으로 들어가면 먹고사니즘과 연애. 100년 전에도 구직은 어렵고 아내랑 잘 지내는 것 역시 힘들었구나.사람사는거 역시 다르지 않다 새삼 느낌. ‘비범한 작가는 밥 먹다 아내가 뒤집어 놓은 숟가락만 보고도 작품을 만들 수 있는데,그렇지 못한 작가는 세상이 … Read more

성공을 파는 사람들, 뜨거웠던 한때와 차디찬 지금

자청의 역행자가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1위까지 오르는 걸 보고 상당히 의아했었는데. 결국은 사단이 나는구나. 유튜브에서 각종 가십거리를 다루는 채널들이 다수 몰려들어 물어 뜯는 중. 자기계발서 콘텐츠는 마치 장르문학 같은 거라. 누군가는 선호하고 다른 누군가는 고개를 젓지만. 그 장르 자체가 옳고 그를리는 없다. 사회상에 따라 각기 그 시점에 잘 팔리고 덜 팔리는 장르가 있듯. 이제 성공 장르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