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수업 한달 만에 강사가 두 번 바뀐다?

7월 말일에 시작해 오늘이 8월 말. 만 한달 동안 내가 듣는 수업 강사 두 분이 그만두고. 샤워실에서 이야기 들어보니 다른 강사도 또 한분 그만둔다. 사설 수영장이고 회비도 관악구에서는 싸지 않은 수준인데. 대체 얼마나 강사 처우가 열악한건지. 아니면 그냥 수영강사라는 직군 자체가 쓰리디 직종인건지. 결국 강사가 충분한 대우를 받을 수 있어야 취미 수영인들도 지속적으로 양질의 강습과 … Read more

네이버, 카카오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박살낸 독일 번역기 DeepL

조선말 = 조선기업? 한국어 번역과 한국어 정보는 역시 한국 기업인 네이버나 카카오가 구글 같은 실리콘밸리산 테크 기업보다 잘 할 거라는 막연한. 하지만 당시만 해도 당연한 기대가 있었다. 그것도 딥엘을 써보기 전까지 이야기. 전에는 영한 번역기로 파파고를 쓰면서 꽤 만족했는데. 결과적으로 요즘은 즐겨찾기에 딥엘만 추가해 두고 파파고는 지워버렸다. ‘딥엘이 파파고 보다 낫다’는 말. 처음엔 안 믿었다. … Read more

에이징 솔로: 필연적으로 올 미래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관악구에 살면서 이 책을 넘기니 예사롭지 않다. 필연적으로 10년 안에 한국 사회가 가장 큰 문제이자 해결할 현안이 될 문제. 전 사회가 1인 가구로 살아가는 방법을 궁리하고 적용하고 개선해 나가야할 시점이 왔다. 가족을 구성하지 않고 혼자 살기를 선택하는 사람이 계속 증가하고. 취약한 사람을 가족이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현실에서 복지의 … Read more

AI 퍼스트: 결국 AI로 돈을 벌어야 할 것 아닌가

2023년 6월 독후감. 올 상반기에 AI 테마주가 한번 쓸고 지나갔고, 아직도 유효한건 골드러시 시대 확실한 수혜자가 리바이스였던것처럼 엔비디아 정도? 하반기 들어서는 AI 보다 보기엔 더 환상적인 ‘초전도체’라는 게 등장. 앞으로는 또 어떻게 갈건지. 결국 AI로 진짜 돈이나 손에 잡히는 편익을 확실히 주는 업체들이 투자처로서도 각광받겠지. AI가 대단하다 아무리 떠들면 뭐하나. 결국 그걸로 내 일에 도움을 … Read more

생성 AI 혁명: 이제 왜 써야하나?가 아니라 어떻게 써야하나?로 넘어가야지 않을까.

2023년 5월에 쓴 독후감. 석달이 지난 지금도 혁명은 조용히 퍼져나가고 있다. 생각보다는 급진적이지 않은 속도로, 하지만 불가역적인 방향으로. ‘AI 등장과 도입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우리가 논해야할 지점은 AI 도입 여부가 아닌 활용 여부!’라는 식의 책은 이제 그만 나와도 되지 않을까. 아니, 내가 이미 그런 마인드 셋을 가지고 있다 보니 나만 그리 조급해하는 건지 모르겠다. … Read more

한경무크 챗GPT 2023: 최신 정보 서적을 샀는데, 구입하자마자 구식 정보가 됐다??

아래는 2023년 4월에 쓴 독후감. 그 이후로 ‘GPT를 배워보자’류의 책이 아마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책보다 더 많이 나오지 않았을까? 그때나 지금이나, 인터넷에서 사례를 보고 많이 써보는 것만큼 효율적인 학습 방법은 없다. 책 구매와 GPT4 출시 중 뭐가 먼저인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여튼 GPT4가 나오면서 사자마자 책 정보가 구식이 되어버리는 체험을 했기에, 역설적으로 이것만으로도 책 값을 … Read more

GPT를 대하는 사무직 로동자의 자세

23년 4월 15일, AI 스터디 모임 후기를 옮겨 적어둠 ———————————————————————– 어제 모임의 주요 질문이었던 ‘개인적으로 GPT를 활용하는 사례’에 대해 제 생각을 좀 더 정리해봤습니다. 1.엑셀을 업무용 뿐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쓸 수 있는 것과 동일하게, GPT도 업무와 개인 목적 양쪽으로 다 쓸 수 있다고 봐요. 제 취미는 크게 세 가지 정도가 있는데. 하나는 11년 동안 한 … Read more

AI 메테우스를 시작하며

AI와 프로메테우스의 합성어. 인간에게 불을 전해 준 프로메테우스 처럼,사무직 노동자에게 AI를 전해주는 프로메테우스를 그리며 시작합니다. 단, 시지프스 산을 오르는 끝없는 로동도 곁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