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물질, 30년 전 일본 노벨상 수상자 이야기
‘과학은 최신 글을 문학은 고전을 읽으라’는 말이 있듯. 30년전 노벨 생리학 상을 받은 사람의 인터뷰집에서 생리학을 배울 필요는 없다. 지금은 어떻게 변해 있을지 모르니. 애초에 그러려고 산 책도 아니고. 다치바나 다카시란 아재가 이끌어 내는 인터뷰가 어떤지 보고 싶었다. 가장 필요한 건, 중요한 게 뭔지 아는 판단력 과학은 맡은 영역이 넓고 깊어서 작은 것을 파고들면 연구 … 더 읽기
‘과학은 최신 글을 문학은 고전을 읽으라’는 말이 있듯. 30년전 노벨 생리학 상을 받은 사람의 인터뷰집에서 생리학을 배울 필요는 없다. 지금은 어떻게 변해 있을지 모르니. 애초에 그러려고 산 책도 아니고. 다치바나 다카시란 아재가 이끌어 내는 인터뷰가 어떤지 보고 싶었다. 가장 필요한 건, 중요한 게 뭔지 아는 판단력 과학은 맡은 영역이 넓고 깊어서 작은 것을 파고들면 연구 … 더 읽기
가성비는 편의점에서 찾자 “수제맥주를 집에서 ‘간편히’ 만든다”는 게 엘지 홈브루 기계의 컨셉이다. 키컨셉은 ‘간편히’다. 수제맥주 제조 키트는 전에도 있었지만. 엘지 홈브루는 세척부터 제조까지 극한으로 간편!에 초점을 맞췄다. 차별화는 합격! 근데, 애초에 수제맥주 자체가 필수품이 아니다 보니 가성비랑은 거리가 좀 있고. ‘편리함’을 얻으려면 어느 영역이든 돈이 더 든다. 결론부터 말하면 ‘수제맥주를 가성비 있게 먹겠다’는 사람은 엘지 … 더 읽기
서양 자기계발서계 인기상품답게, 참으로 넓은 범위를 실용적으로 다룬다. 인터뷰이의 다양성을 생각하면, 책 값 참 싸다는 생각이 들 정도. 작가도 제목 지을 때 의도했겠지만, 연장통에서 지금 작업에 필요한 도구만 적재적소 꺼내 쓰면 된다. 한번에 모든 연장통을 다 뒤질 필요는 없다. 다만, 평소 각 연장의 쓰임새를 이해하고 잘 닦아 둘 필요는 있겠지만. 오늘은 각 연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 더 읽기
공급자 입장에서, 내가 소비자에게 주는 건 가치, 소비자가 내게 지불하는 건 가격이다. 슬램덩크는 관람객에게 영화비보다 높은 가치를 제공한 성공한 추억팔이 상품이더라. 주변에 슬램덩크에 너무 열광하는 친구 몇몇이 있어, 반발심리 때문에 뭐 별거 있냐 싶었는데. 이런 나조차 울컥할 수 밖에 없더구만. 원작자가 직접 제작한 힘인지. 티비에서 보던 그 축축 늘어지는 슬램덩크 애니메이션이 아니더라. 추억이건 뭐건 파는 … 더 읽기
어떤 취미 건 몇개월에서 1년 쯤 즐기면 안목이 생긴다. 처음엔 누가 잘하는지 헷갈리지만. 여러 춤이 데이터로 입력되면서 춤의 우열을 가리는 선구안이 생기는 것. 그런데, 잘 추는 사람과 못 추는 사람을 가릴 수는 있다지만. 잘 추는 사람의 춤이 어떤 점에서 뛰어난 건지. 그 요소까지 발라낼 수 있을까? 마치 대회 심사 배점표 같이, 춤의 질은 1번 항목 … 더 읽기
23년 1월, 지금 가장 힙한 곳이라면 성수. 거기의 어떤 게 힙함을 만드는 건지 찾아보려 떠났다. 피치스 보단 스모킹 타이거스. 피치스는 ‘자동차 마니아를 위한 패션 브랜드’를 표방하나. 정작 피치스 도산에 들어가보면 자동차는 이 공간의 주인공이 아니라 전시물에 불과하단 생각. 진짜 자동차 마니아들이 좋아하는 공간일까 의문이 들었다. 진짜 자동차 마니아를 타겟팅한 건 아니란 생각. 스케이드보드나 서핑 같은 … 더 읽기
연말 결산, 올해를 돌아보며 등등의 제목으로 언론사가 기사를 내는 건 연례행사지만. 이제 그 결산의 주체가 스타트업부터 개인까지 확산되는 걸 체감한다.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도 내부 데이터 기반으로 시장이 혹할 ‘정보’를 만들고, 개개인은 플랫폼 기업이 분석해 준 개인별 사용정보를 적절히 가감해 SNS에 올린다. 몇년간 데이터 기반, 데이터 드리븐,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가 미래 산업의 석유 등등등…… 관련 키워드가 … 더 읽기
대략 2주 정도 걸렸나. 연말에 세기말스러운 게임 사이버펑크 2077 스토리모드를 깼다. 게임 하는 내내 떠오른 생각을 끄적여 본다. 왜 내연기관 차가 주류인거지? 내가 플레이하면서 탄 모든 차는 (아마)내연차였다. 펑크 분위기 내는 데는 전기차의 위이잉 모터소리보단 8기통 배기음이 더 어울린다 싶지만. 2030부터 내연차 생산 중단하겠다는 기업이 이리 많은데. 대체 왜 2077년까지 내연차가 주류인 거지? 자동차 회사 … 더 읽기
초단기 가격 변동을 이용한 트레이딩이 아닌, 기업 가치의 장기 상승을 보고 투자한다면. 내가 사려는 기업이 속한 산업군에 대한 이해가 필수 아닐까. 국민주로 불리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그 전후방 산업까지 다 합치면 한국 주식 시총의 얼마나 될까? 대략 3분의 1쯤?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투자자가 많을 수록, 개인 투자자의 수익률도 반도체 생태계에게도 좋은 일이 아닐지. 그리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