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가는 화가 보다는 작가

– 중쇄를 찍자 강풀이나 윤태호 씨 작품을 보며 늘 생각했다. 최근에는 이말년 포함. 만화가는 그림쟁이보단 이야기꾼.  “데뷔하고 10년은 재능만 갖고 먹고할 수 있지. 그후에는 인간력, 즉 인간으로서의 힘이야.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는가!” ‘인간력’이란 표현이 재밌다. 인간으로서 얼마나 더 성장할 수 있는가. ‘인자강(인간 자체가 강하다)’ 같은 느낌도 들고. 결국 만화가 커리어도 길게 보면 젊은 시절 작화 … Read more

술과 술자리를 대하는 자세

“술은 악마가 젊음을 공격할 때 사용하는 첫 무기야” (만화 비트) “악마가 인간을 찾아가기 너무 바쁠 때 술을 대신 내려보낸다” (유대인 격언) 이런 것이 시중의 술자리 명언이라면, 최근 들어 나 스스로 정한 규칙이 있다. 1. 술과 말은 부족할 만큼만 2. 1번이 안 되는 자리라면 하나만 할 것. 술을 많이 마시면 말을 줄이고, 말을 많이 할 거면 … Read more

신발을 갈아신다.

몇 년을 신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입사 동기가 사 줬으니 대략 6, 7년 신은 듯. 뜯어질 뜻 뜯어질 듯 하면서도 놀라운 내구성으로 버텨주니 버릴 수도 없었다. 아니 그보단 너무 편안하고 정이 든 탓이겠지… 이제 곧 입사 만 8년. 그 기념을 핑계삼아 결국 새로운 신발을 장만했다. 대학 때 건설현장 알바하던 시절이 떠오른다. 추운 겨울, 함바집에서 식사를 … Read more

[2018년 1월 트레이닝] 역도 시작!

‘인간이 만든 최고의 격투기’라는 별명을 권투가 차지했다면, ‘인간이 최고 출력을 내도록 만든 운동’이란 별명은 역도꺼라나. 고걸 드디어 1월 2일부터 시작한다. 지지에 토 기운이 그득한, 생활의 보수성이 강한 내게 새로운 시도는 늘 쉽지 않다. 하지만 내 인격적, 육체적 성숙을 위해 흔쾌히 받아들일 것. 때마침 역도 수업 첫 날 도착한 나이키 역도화 로말레오3. 마치 시즈탱크가 시즈모드 하는 … Read more

=====(자)데드리프트 150킬로 달성(축)=====

벤치프레스 100킬로에 이어, 데드리프트 150킬로 달성 자축글을 남긴다. 벤치에 비해 상징성은 약하나, 나름의 작은 비석을 또 하나 놓은 셈 난생 처음 데드 했을 때가 떠오른다. 21살, 군 입대 앞두고 동네 목욕탕에 붙어 있는 헬스장 다니던 시절. 스트랩에 바벨을 묶어서 올렸다 내렸다하는 운동을 배웠다. 당시에도 꽤나 힘들었던 기억이다. 혹시 데드가 아닌 바벨로우 인가 싶기도 하지만, 로우를 … Read more

한계령을 위한 연가, 문정희

한겨울 못 잊을 사람하고 한계령쯤을 넘다가 뜻밖의 폭설을 만나고 싶다. 뉴스는 다투어 수십 년 만의 풍요를 알리고 자동차들은 뒤뚱거리며 제 구멍들을 찾아가느라 법석이지만 한계령의 한계에 못 이긴 척 기꺼이 묶였으면. 오오, 눈부신 고립 사방이 온통 흰 것뿐인 동화의 나라에 발이 아니라 운명이 묶였으면. 이윽고 날이 어두워지면 풍요는 조금씩 공포로 변하고, 현실은 두려움의 색채를 드리우기 시작하지만 … Read more

[2017년 12월 트레이닝] 3대 합계 400에 도전. 작심석달의 마지막 달.

11월 리프팅 목표: 벤치 105, 스쿼트 105킬로 15회, 데드 140 = 350 달성: 벤치 100, 스쿼트 135, 데드 145 = 380 엄청 초과달성이긴 한데. 저게 스쿼트 100킬로 횟수를 늘리는 방식에서 1rm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한 덕분이지.  12월 리프팅 목표 벤치 105, 스쿼트 140, 데드 155 = 400 일단 수치는 이렇게 잡아놨는데, 데드 155랑 벤치 105가 좀 무리일 … Read more

슬픔을 권함, 남덕현

작가의 말을 오롯이 내 식으로 소화하진 못했다. 다만 언젠가 몸에 좋게 쓰일 것 같아 찬장에 고이 넣어두는 심정으로 기록해둔다. 밑도 끝도 없는 것을 견디지 못한 것들만 진화한다. 그래서 진화하는 것들은 절대 강하지 않다. 진화하지 않는 슬픔이란 밑도 끝도 없이 견디고 또 견디는 슬픔이다. 끝끝내 견디는 인간의 슬픔은 결고 진화하지 않는다. 그런 슬픔은 강하며, 그런 슬픔만이 … Read more

스타팅 스트렝스, 웨이트 트레이닝의 바이블

포스팅 제목을 쓰고 보니 이런 생각이 든다. 내가 기독교 신자도 아닌데,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면서(정확히 말하면 관심도 없으면서) 굳이 바이블이란 비유를 쓸 필요가 있을까. 그럼 이렇게 정정하자. 성경은 종교계의 ‘스타팅 스트렝스’다. 도서관에서 세 번 이상 반복해 빌려봤다. 연달아 빌린 것도 아니고, 몇달에서 몇년 간격을 두고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해 다시금 공부하고 싶을때마다. 여기 몇몇 메모를 기록해 … Read more

기다리는 것과 가만히 있는 것

기다린다는 것은 능동적 행위다.  그냥 가만히 있는 게 아니라 어떤 사건을 준비하며 응축하는 것.  그렇게 모으는 시간이지 흘려 보내는 게 아니다.    이게 니체의 다이너마이트. 지금 내 일상도, 흘려 보내는게 아니라 기다리는 시간이길. 어떤 사건을 기대하며.   ‘나는 나를 기다린다’   – 벙커1 팟캐스트, ‘니체의 다이너마이트’를 여러번 돌려 들은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