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번째 역도 대회 후기_2022 경기도의회 의장배 생활체육 역도대회

경쟁은 항상 피곤하다. 그래서 배울게 있다. 첫 대회가 2018년 경기도의회 의장배, 두 번째가 문곡서상천배. 그리고 이번 세 번째 배움을 기록해 본다. 첫 입상_존버는 가끔 상을 준다 자랑하기에는 좀 부끄러운 입상이다. 만 40세 이상 시니어 부에 같은 체급으로 총 3명 출전해 2등 했다. 원래 내 앞 두 분 기록이 압도적으로 높은 데 한 분이 아마 용상에서 … Read more

영원한 건 거의 없다_경유와 휘발유 가격 역전을 보며

태어나 한 번도 본 적도, 그러므로 생각한 적도 없다. 경유가 휘발유 보다 비싸지는 걸. 그냥 원래 그런 건 줄 알았고, 영원히 그럴 줄 알았다. 매일 지나는 집 앞 주유소에서, 경유가 더 비싸진 가격표를 보며. 영원한 건 거의 없단 걸 새삼 깨닫는다. 다음에는 또 어떤 내 상식이 깨질까. 그때 난 미리 알아챌 수 있을까. 대응은?

퇴사와 이혼은 언제나 응원

타인의 결정 중 퇴사와 이혼은 무조건 응원하는 편이다. 충분한 고민을 했을 테고. 적어도 지금보다는 나을 거라는 판단하에 내린 큰 결심이기에.   결혼이나 취업을 ‘한다’라는 결심보다, 출근과 결혼 생활을 더 이상 ‘하지 않는다’는 결심의 무게가 더 큰 게 대부분이더라.   응원할 지인이 많아지는 요즘이다.    

어머니전, 강제윤

책의 소재 자체가 ‘섬에 있는 어머니들’이라 더욱 그렇겠지만, 내 주변을 봐도 그렇고 우리 부모세대를 보면 대개 아버지가 개차반이고 어머니가 피해자인 경우가 많다. 이러니 한국 사회에서 확률적(평균적)으로 ‘결혼하면 여자가 손해’라는 생각이 들 수 밖에. 다만, 지금 기준으로는 100번도 더 이혼했을 상황에서도 어찌저찌 살아 온 부모세대가 지금 손쉽게 이혼하는 세대보다 불행 했을지는 모르겠다. 절대적 빈곤이 해결되면 상대적 … Read more

패션과 스타일

“패션은 구매하는 것이지만, 스타일은 소유하는 것이다.” 김홍기 씨 책에서 인용된 ‘에드나 울먼 체이스’ 문장은 이렇지만. 팟캐스트에서 육성으로 들은 아래 표현이 되려 더 와닿는다. “패션은 구매할 수 있지만, 스타일은 소유하는 것이다.”   돈으로 살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간극. 인풋과 아웃풋 사이, 그 사람 고유의 소화 과정. 거기서 각자 스타일이 나온다. 일도 춤도 옷도. 살 … Read more

3년 만에 찾은 함덕

제주 3박 4일 여정을 그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해 둔다.   코로나 오기 전, 2019년 6월 제주가 마지막이었으니, 3년 만의 출동이다. 보일러실에 방치한 여행가방을 꺼내본다.     날아오른다. 이제 키오스크 티켓 발권이 너무 당연해져서. 수화물을 부치지 않는 이상 항공사 데스크에 갈 일도 없다.     도착지인 함덕 해변이 비행기 창가로 보인다. 제주공항 항로가, 제주도를 우측에서 좌측 … Read more

건물과 도시, 텍스트와 컨텍스트

트레바리 모임으로 나간, 일종의 신도시 예정지 임장 후기(가 전혀 아니다) 1. 신도시 개발로, 기존 마을을 허물 때 사료로 가치 있는 건물은 다른 곳에 복원해 두기도 하나보다. 마치 삽으로 떠서 건물 하나를 그대로 이전하는 개념은 건축가 입장에선 해당 시대 건축 양식을 온전히 살리는 거지만, 도시학자 입장에서는 마을에서 그 건물이 놓인 맥락이 제거되기 때문에 온전한 의미의 보전이 … Read more

주 120시간 근무?

테슬라 일론 머스크가 ‘주 90시간 굴릴 수 있는’ 솔로 공대남만 의도적으로 뽑았다는 기사와 함께. 테슬라의 머스크, 토스의 이승건. 둘 다 엄청난 주당 근무시간을 자랑하고, 자기 인생을 건 대가로 보상을 받아가니 공정하다 봐야하지 않겠냐는 스터디원 분이 던진 화두에 대한 내 나름의 답변. https://news.v.daum.net/v/20220611063102034   정답은 없다, 성공사례가 있을 뿐 뻔한소리지만 ‘하나의 정답은 없다, 성공사례와 그럴 만한 … Read more

자율주행, 되냐 안 되냐가 아니라 언제되냐

자율주행 기사에 ‘강남 러시아워에서도 되냐, 부산와서도 되면 인정한다’는 식의 댓글이 달리던 시절이 있었다.(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나?)   결국 시간 문제일 뿐, 되냐 안되냐는 명확하다. 된다. 이제 드디어 강남 한복판에서 시작했네.   엑셀 수식을 못 믿어 다시 검산하려고 주판 두드리는 사람은 없다. 만약 그런 사람이 동료라면, 어떤 심경일까.   자율주행은 되냐 안 되냐가 아니라 언제되냐의 문제. … Read more

유튜버들의 한글파괴

영화나 드라마를 수십분으로 요약해주는 유튜브 채널에 빠졌다가. 좀 엉뚱한 지점에서 흥이 깨진 후 안 보고 있다.   다름 아닌, 이 요약 유튜버들이 입힌 자막에서 벌어지는 미묘한 한글파괴 현장을 보기가 너무 괴로운거다. 뭐랄까. 아주 살살 창문 긁는 소리처럼, 묘하게 신경 거슬린달까.   한 마디로 비문이 넘쳐나는데. 특히 미국 영화랑 드라마를 많이 접해서인지 죄다 피동문 일색이다. 자막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