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심도 단상

간만에 떠난 섬 여행, 아니 첨으로 떠난 섬 학교라 해야겠다. 지심도에서 느낀 감상을 휘발되기 전에 끄적여 본다.   지심도 선착장에서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구조물이, 이 지심도 거제 반환비다.   일제시대 일본이 중일전쟁 대비 군사기지로 쓰기 위해 원주민을 내쫓은 이후, 지심도 원주민은 근 백년 간 자기가 사는 땅의 소유권을 인정 받지 못했다. 해방 이후 … Read more

커피숍 주문대 위 고양이

통영 커피숍에서 만난 고양이. 너무 버젓이 손님이 주문하고 차를 들고가는 주문대 위에 누워있다. 만져도 쓰다듬어도 꿈쩍 않는다. 고양이 있는 카페라고 크게 써붙여 놓지도 않았는데. 이렇게 느긋하게 누워있는 고양이를 보면 손님들이 자기 자는 걸 훼방놓은 적도 없나 보다.   이런 식으로 고양이가 주문대를 차지한 카페가 있어 놀란 게 아니라, 이런 카페가 놀랍지 않은 일상이 된 것 … Read more

통영 다찌는 원래 단골 대상 식문화였다.

통영 여행 후, 섬 연구소 강제윤 소장님께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기록해 본다.   다찌의 유래 일본 선술집을 뜻하는 다찌, 다찌노미에서 온 단어라는게 정설인 듯. 강 소장님도 그렇게 말씀하시고, 여러 신문 칼럼도 같은 결로 설명한다.   조선시대 삼도수군통제령(현재로 치면 해군본부)이 있을 만큼 해상교통 요지이자 물산이 풍부한 도시였고. 일제시대에는 중일전쟁 병참기지로 활용한 만큼 일본 문화도 활발히 유입되었을 … Read more

시가 읽히지 않는다.

아주 간만에 꽤 여러권의 시집을 샀고, 그 중에는 김수영 전집(전집1이 詩, 2가 산문)도 있다.   그런데 전혀 시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전에 시집을 볼 때도 주마간산 눈으로 훑으며 맘에 드는 구절이 있으면 다시 첨부터 보는 식이었지만, 요즘은 너무 눈에 들어오지가 않는다. 내 맘을 멈추는 구절도 없다.   시의 문제인가 나의 문제인가, 둘을 고민하다 보니 … Read more

블로그 재이전 완료(XE->네이버블로그->워드프레스)

XE로 만든 자체 블로그에서, 네이버 블로그로 이전한다는 바로 이전의 글이 21년 9월 22일. 8개월 됐네. 그간 네이버 블로그를 좀 끄적여 보다 다시 돌아오게 됐다. 사이먼 사이넥의 why/how/what 프레임으로 정리해 본다. Why 한 공간에서 연속성을 가진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싶어서. 이게 네이버가 가지고 있는 용량 무제한에, 네이버 책/지도 데이터 연동 같은 뛰어난 사용성까지 포기하게 만들었다. 결국 내가 … Read more

No Subject (guest)

전쟁의 최초의 희생자는 진실이다. – 종국작가 필립 나이틀리, 강준만 ‘한국대중매체사’ 339쪽 재인용 6.25 당시 특파원들은 미군 홍보부서가 제공하는 지도만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제공받아서 언론매체에 보도한 그림은 거짓과  반 정도의 진실, 그리고 상당한 왜곡의 믹스였다나…

No Subject (guest)

복권은 보수주의자들이 지지하는 유일한 세금이고 진보주의자들이 받아들이는 유일한 역진세이다 – 윌리엄 새파이어, 데이비드 G 마이어스 ‘직관의 두얼굴’ 339쪽에서 인용 복권이 아주 수월한 조세 충당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이 복권을 더 많이 구매하는 것이 결국 역진세와 같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참고로 역진세는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많은 세금이 부과되는 걸 말한다. 반대말은 누진세.

낚시 – 마종기

낚시시질하다가 찌를 보기도 졸리운 낮 문득 저 물 속에서 물고기는 왜 매일 사는 걸까. 물고기는 왜 사는가. 지렁이는 왜 사는가. 물고기는 평생을 헤엄만 치면서 왜 사는가. 낚시질하다가 문득 온 몸이 끓어오르는 대낮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고 중년의 흙바닥 위에 엎드려 물고기 같이 울었다. 최근에 알게된 시인데 좋아서 올려~

No Subject (guest)

“재산이 탐나서가 아니라 정의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 ‘지식e채널 4편 스피노자 편에서’ 부친이 남긴 유산을 여동생과 처남이 모두 착복하자 소송을 걸면서 스피노자가 했던 말 실제 재판에서 승소한 뒤 다시 모든 유산을 동생에게 줘버린다. 이렇게 엄하면서도 쿨한 오빠가 있다니!!

No Subject (guest)

나는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그 의견 때문에 박해를 받는다면 나는 당신의 말할 자유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입니다. – 볼테르 (1694 ~ 1778, 프랑스 계몽 사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