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과 콘텐츠
읽고 보고 듣는 모든 콘텐츠에 대한 감상
썸타기와 어장관리에 대한 철학적 고찰
알록달록한 표지만 보고 가볍게 시류에 편승한 책인 줄 알았다. 사과하고 반성한다. 크게 배웠다. 특히 결론 부분은 통째로 갈무리 하고 싶을 정도다. 어떤 이는 상대방을 처음 만난 지 사홀 만에 결혼을 결심한다. 한편 썸타기나 어장관리에 임하는 최근의 젊은이들은 상대방과 오랜 기간의 만남을 이어가면서도 그 만남을 본격적인 연애로 발전시킬지를 놓고도 망설이고 머못거린다. 그렇다면 이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 더 읽기
슈독, 스피릿은 알겠는데 스트레티지는 모르겠다.
성공한 기업가의 자서전이 가진 후견지명 측면의 한계다. 성공한 건 알겠는데. 뭐가 성공의 요인인지 모르겠다. 소설처럼 잘 읽히는 건 맞는데, 르포기사처럼 사실과 당시 발언에 기반한 전개라 믿기엔 어렵다. 게다가 자서전 쓴 사람이 작가를 희망하는 칠십대 노인이라면. 다만, 이건 슈독을 경영 서적으로 봤을 때의 한계지, 슈독이 가진 콘텐츠 자체의 한계는 아니다. 누군가는 책에서 ‘무언 가에 미친 놈’이 … 더 읽기
지식의 단련법(근데 정확히 40년 전의)
다치바나 다카시란 사람이 참 매력적이긴 한가 보다. 83년도에 쓰여진 일본 작가 글을 2009년에 1판 1쇄를 찍고, 21년에 2판 1쇄로 지금 내가 보고 있으니. 한국 출판사는 분명 수요가 있으니 계속 찍어내는 거겠지? 아무리 그래도 원작의 출판년도 정도는 표기해주는게 독자에 대한 예의 아닌가 싶은데. ’83년도에 발행된 지식의 단련법’을 살 소비자가 확 줄어들어서 그런가. 속독술 책을 보면 눈을 … 더 읽기
정신과 물질, 30년 전 일본 노벨상 수상자 이야기
‘과학은 최신 글을 문학은 고전을 읽으라’는 말이 있듯. 30년전 노벨 생리학 상을 받은 사람의 인터뷰집에서 생리학을 배울 필요는 없다. 지금은 어떻게 변해 있을지 모르니. 애초에 그러려고 산 책도 아니고. 다치바나 다카시란 아재가 이끌어 내는 인터뷰가 어떤지 보고 싶었다. 가장 필요한 건, 중요한 게 뭔지 아는 판단력 과학은 맡은 영역이 넓고 깊어서 작은 것을 파고들면 연구 … 더 읽기
타이탄의 도구들, 연장통을 다 뒤질 필요는 없다
서양 자기계발서계 인기상품답게, 참으로 넓은 범위를 실용적으로 다룬다. 인터뷰이의 다양성을 생각하면, 책 값 참 싸다는 생각이 들 정도. 작가도 제목 지을 때 의도했겠지만, 연장통에서 지금 작업에 필요한 도구만 적재적소 꺼내 쓰면 된다. 한번에 모든 연장통을 다 뒤질 필요는 없다. 다만, 평소 각 연장의 쓰임새를 이해하고 잘 닦아 둘 필요는 있겠지만. 오늘은 각 연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 더 읽기
슬램덩크, 성공한 추억팔이
공급자 입장에서, 내가 소비자에게 주는 건 가치, 소비자가 내게 지불하는 건 가격이다. 슬램덩크는 관람객에게 영화비보다 높은 가치를 제공한 성공한 추억팔이 상품이더라. 주변에 슬램덩크에 너무 열광하는 친구 몇몇이 있어, 반발심리 때문에 뭐 별거 있냐 싶었는데. 이런 나조차 울컥할 수 밖에 없더구만. 원작자가 직접 제작한 힘인지. 티비에서 보던 그 축축 늘어지는 슬램덩크 애니메이션이 아니더라. 추억이건 뭐건 파는 … 더 읽기
2022년 끝자락에 깬 사이버펑크 2077
대략 2주 정도 걸렸나. 연말에 세기말스러운 게임 사이버펑크 2077 스토리모드를 깼다. 게임 하는 내내 떠오른 생각을 끄적여 본다. 왜 내연기관 차가 주류인거지? 내가 플레이하면서 탄 모든 차는 (아마)내연차였다. 펑크 분위기 내는 데는 전기차의 위이잉 모터소리보단 8기통 배기음이 더 어울린다 싶지만. 2030부터 내연차 생산 중단하겠다는 기업이 이리 많은데. 대체 왜 2077년까지 내연차가 주류인 거지? 자동차 회사 … 더 읽기
국민주 사기 전에 보는, “바로 써먹는 최강의 반도체 투자”
초단기 가격 변동을 이용한 트레이딩이 아닌, 기업 가치의 장기 상승을 보고 투자한다면. 내가 사려는 기업이 속한 산업군에 대한 이해가 필수 아닐까. 국민주로 불리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그 전후방 산업까지 다 합치면 한국 주식 시총의 얼마나 될까? 대략 3분의 1쯤?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투자자가 많을 수록, 개인 투자자의 수익률도 반도체 생태계에게도 좋은 일이 아닐지. 그리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