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트레이닝] 주 2회, 월 수로 갑시다.
올해는 1rm을 늘리는 해가 되길! 더도 덜도 말고, 주 2회만 되어도 가능해!
일상에 대한 감상
올해는 1rm을 늘리는 해가 되길! 더도 덜도 말고, 주 2회만 되어도 가능해!
– 장정일의 독서일기 中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표어는 실제 내 기억에도 남아있는데, 이게 미국의 두려움이 강제한 산아제한 정책이라니!!
2014년 계획을 그려놓은 내 마인드 맵을 보니, 아리랑, 태백산맥, 한강을 한 달에 하나씩 완독해 3월에는 다 읽는 걸로 목표가 잡혀있었다.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고 그쳤다 재개했다를 반복해 만 1년이 걸려 결국 3부작을 다 읽었다. 방금 한강의 작가연보까지 읽고 나서 이 사실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나중에 30권이 넘는 이 책을 완독한 사람을 만나면 약하나마 유대감이 들법하다. 집필에 20년이 … 더 읽기
제주해군기지 건설의 숨겨진 (진짜)목적이 ‘미군의 전진기지’ 임을 인정하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으로 나눌 수 있다.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中 지금 동아시아를 읽는다(한승동)’의 독후감, 장정일’ 해군기지를 자연환경 파괴 관점에서 보는 이도 있고, 미국과 중국 사이의 외교적/안보적 실리 관점에서 보는 이도 있다. 자연 파괴는 물론이고 국제적 실리도 챙기지 못하는(기존 친미세력 기득권의 단기적 실리는 챙길 수 … 더 읽기
국민학교 2학년 때였나, 각종 만화책의 컬러 광고에 나오는 겜보이 재믹스 같은 게임기를 갖는게 절절한 소원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그리던 게임기가 바로 해태전자의 슈퍼컴. 그 후 이만큼 강렬히 무언가를 원했던 적이 있나 싶어. 그 때의 좌절 덕분에 대부분의 일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지금의 내 성향이 만들어졌을지도 모르겠다. 이미지 출처: http://blog.naver.com/mini72/220207647908
“혁명가가 지치면 그것 자체가 죽음인 거요” – 아리랑, 조정래 아리랑에는 숱하게 많은 혁명가가 나온다. 이들 생의 결말은 두 가지. 지치면 혁명가로서 끝(죽음)이고, 지치지 않으면 인간으로서 생이 끝. 혁명가의 삶은 외곬수다. 그만큼 혁명은 외로운 한 수, 어찌 보면 올인인가 싶다.
“능력과 노력에 의한 차이는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차이가 수십수백만 배라면 그것은 더 이상 능력과 노력의 차이라 할 수 없다. 설사 그것이 합법적이라 해도 비인간적이며 비윤리적이다. 그런 사회는 부서져야 한다. 제아무리 능력 없는 사람도 정직하게 일한다면 최소한의 인간적 품위는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 b급좌파, 김규항 어느 책이었지, 장하준 교수였나… 대략 이런 구절이 있었다. … 더 읽기
겨울이니 일단 많이 먹을테야, 운동은 지난달 보단 자주 나가는 걸로. 월 8회 목표(사실 어마어마한 수치인데)
A온라인몰 관계자는 “연 230조원에 달하는 국내 유통시장에서 해외직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 안팎에 불과하지만 지금 같은 추세라면 5%, 10%에 도달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직구 인구가 매년 30∼40%씩 늘고 있는데다 구매 단가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 해외직구 2조원 시대…”블프 직구족들의 마우스를 돌려라”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112716324325036&outlink=1 한 때 수입차 증가세가 폭발적이면서 ‘이러다 수입차 비중이 5%, 10% 넘어간다’는 말이 나왔었고, 나도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