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책상은 누가 옮겼나?

요즘 신영복 교수의‘나의 동양고전독법 강의’를 읽으면서 이것저것 생각해보게 된다. 아래는 책의 일부분 ————- 모스크바 지하철에서는 젊은이들이 노인을 깍듯이 예우합니다. 노인이 타면 얼른 일어나 자리로 안내하고, 노인들은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어쩌다 미처 노인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가는 그 자리에서 꾸중을 듣는다고 합니다. 의아해 하는 나에게 들려준 대답은 의외로 간단했습니다. “이 지하철을 저 노인들이 만들지 않았느냐!” 는 … 더 읽기

똑똑한 이는 지키고, 어리석은 이는 바꾼다.

지금은 심리학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완석이랑 만나면 나의 심리상태가 주 화제거리다. 하여튼 스물 여남은 살까지 연애 못 해 본 경우는 연구대상감이란다. 그래서 완돌이 석사 끝날 때 까지 연애불능자면 졸업논문 대상이 되어 주기로 했지. 아마 대학 3,4학년 때 쯤 완돌이랑 한 번은 이런 이야기를 했다. 돌 – 형은 뭔가 어긋 나려는거 알아? *이 때의 어긋남은 … 더 읽기

만들다 만 신 3. 요즘 대세인 ‘나쁜 남자’ 예수, 알라

사람들은 왜 종교를 가지는가? 혹은 왜 종교를 만들었는가? 종교인 입장에서 이 질문은 선후관계가 뒤바뀐 걸로 보일 듯. 신이 먼저 나고 인간을 만들었으니, 종교(신)가 먼저 존재한 후 인간이 어떻게 신의 존재를 알아가는 가의 형상이 되어야겠지. 아직은 비종교인인 내가 정의하는 종교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서비스업’ 인류는 글이 생기기 이전부터 벽에 그림이나 표식을 그려놓고 제사를 지냈다. 원인을 알 … 더 읽기

No Subject (guest)

실패는 그 자체로는 값진 것이 아니다. 그로부터 무언가를 얻어낼 수 있어야 가치를 가진다. 보통 그 가치를 캐내는 과정은 쓰고 시다. 냉혹한 자기반성이 따라야하는 과정

No Subject (guest)

실패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실패의 발견이 필요한 것이며, 실패가 값진 것이 아니라 실패의 교훈이 값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334쪽

매너는 배려다.

독서실 생활 한 달 반이 되니 휴게실 열람대에 꽂혀 있는 잡지를 거의 모두 보게됐다. 열람 순서가 대충 시사잡지->정체불명 무가지->대학내일 순인데 정체불명 무가지에서 마침 매너에 관한 기사를 읽고 이에 떠오르는 생각이 있어 잽싸게 글로 옮겨본다. 여성잡지나 남성잡지, 혹은 싸이월드 게시물(여긴 없는게 없다)에 남자의 매너는 어쩌저쩌해야 한다는 식의 글은 단골손님이다.(편집자에게 새로운 소재를 발굴할 지적인 매너가 없나 보다) … 더 읽기

만들다 만 신 2. 믿음에서 출발한 앎, 앎에서 출발한 믿음

꼬리글이 길게 이어지면 보기 불편할 것 같아 답글로 이어쓴다. 먼저, 성경 해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처음 한 사람이 스피노자란 건 처음 알았다. 책을 읽어보고는 싶은데 왠지 엄청 어렵고 딱딱할 것 같다는 느낌이 파팍~ 오는구나. “예수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란 비교적 최근의 책도 기존 성경 해석에 반론을 제기하고 있거든. 빌려놓고 한 번 훑어보긴 했는데. 이런, 지금은 딱히 … 더 읽기

No Subject (guest)

여자는, 한 번 부르면 모르는 척하고 두 번 부르면 돌아보고 세 번 부르면 얼굴을 기억하고 네 번 부르면 마음에 담아요 – 전대 신방과 정혜리 10번 찍어 안 넘어가는 여자 없다는 이야길 역설하던 정혜리. 내 일기장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