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재무관리, 어떻게 살 것인가가 무엇을 살 것인가를 결정

1. 재무관리 VS 재테크 자산설계, 재무 설계와 재테크의 차이점은? 전략과 전술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를 예로 들면 ‘초반 발업 저글링으로 게임을 끝내야겠다’고 하는 건 전략이고 ‘입구 근처에 숨어 있다 저글링으로 질럿을 싸먹어야지’ 하는 건 전술. 재무 설계가 전략이라면 재테크는 전술이다.   재무 설계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니라 인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 더 읽기

호감법칙

한 심리학자는 ‘미래의 결혼 상대는 반경 70m내에 있다’ 라는 말을 했다구 하네요 바로 호감법칙중 대부분 사람이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 끌리게 된다는 ‘근접성’ 이론을 말하는 것인데요   그래서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어떤가요?  혹시 부모님과 동반자가 되진 않을지?;;;;;;;;;;;;;;;;;;;;; 건어물녀 건어물남이 되어가고 있는 당신!!유후~   그래서 소개팅 기술을 가져왔습니다.   상판 모르는 청춘남녀의 몇 안되는 만남의 장, 소개팅 … 더 읽기

내겐 조그만 도움도 남우세스러운 일이 되었나

요즘 출근하는 대구 남부도서관은 앞산(비슬산) 밑에 있어 버스정류장에서도 100미터쯤 올라가야 한다. 오늘 버스정류장에 내리는데 어떤 아저씨가 3차선에서 자전거를 연결한 리어카를 끌고 오르는게 아닌가. 리어카에는 폐지와 재활용품, 잡동사니들이 가득했다. 인도로 가면 차량 흐름에 방해도 안 되고 아저씨도 안전할 텐데 왜 저리 도로로 나와서 용을 쓰실까… 새카맣게 탄 얼굴로는 50대인지 60대인지 구분이 안 가지만 오르막을 거슬러 오르기가 힘이 … 더 읽기

비주류라도 괜찮아~ (미선이 이야기)

미선이를 만났다. 언제 처음 만났는지 확실히 기억난다. 05년 복학 첫 해 MT 장보러 간 칠성동 이마트에서 첨 봤다. 그 때 성준이형이 미선이 이름이 갑자기 기억 안 난다며 내게 살포시 물어봤었는데, 나 역시 처음 보는 아가씬 걸~ 그리고 06년 이후 햇수로 3년을 못 봤으니까, 보고 지낸 기간보다 못 보고 지낸 기간이 더 길다. 15개월 간 동남아시아 … 더 읽기

응, 아직은 순진하련다.

새마을금고연합회 논문 12편과 1년치 관련기사를 프린터해서 참 연구 많이 했다. A4 용지로 1천 장쯤 되는 분량일거다. 면접은, 그것도 최종 면접은 합격과 불합격의 원인을 가늠할 수 없는 법. 그러나 또 차후를 위해 복기해 보자. 내가 내린 결론은 하나다. 아직 새마을금고연합회는 노조 문제를 옹호해서는 안 되는 곳이다. 면접관이 묻더라고 “쌍용차의 노조파업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내가 대답했지 … 더 읽기

No Subject (guest)

전쟁의 최초의 희생자는 진실이다. – 종국작가 필립 나이틀리, 강준만 ‘한국대중매체사’ 339쪽 재인용 6.25 당시 특파원들은 미군 홍보부서가 제공하는 지도만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제공받아서 언론매체에 보도한 그림은 거짓과  반 정도의 진실, 그리고 상당한 왜곡의 믹스였다나…

No Subject (guest)

복권은 보수주의자들이 지지하는 유일한 세금이고 진보주의자들이 받아들이는 유일한 역진세이다 – 윌리엄 새파이어, 데이비드 G 마이어스 ‘직관의 두얼굴’ 339쪽에서 인용 복권이 아주 수월한 조세 충당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이 복권을 더 많이 구매하는 것이 결국 역진세와 같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참고로 역진세는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많은 세금이 부과되는 걸 말한다. 반대말은 누진세.

신해철의 쾌변독설

“우리가 입을 것 못 입고 먹을 것 못 먹고 너희들을 기르는데다가 우리 인생을 희생했다고 하잖아요. 자식들이 입지 말라고 얘기한 적 없고 먹지 말라고 얘기한 적 없거든요. 자기가 좋아서 한 거잖아요 그게 사실이라고 쳐도 그게 사실이라면 자기 좋아서 한 것을 가지고 아래세대들에게 그것을 인정해 달라고 외치는 순간 모든 게 끝나는 거구요 점잖게 앉아 받아먹는 수밖에 없는 … 더 읽기

프랑스 68, 일본 69, 그리고 한국의 70

한 4년 쯤 전이다.하도 하루키 하루키 하길래 ‘상실의 시대(원제인 노르웨이의 숲이 더 멋있다)’부터 댄스댄스댄스… 뭐 지금은 제목도 잘 기억 안 나는 일본작가 작품들을 연달아 읽었더랬다. 요시모토 바나나도 있었던 것 같고. 제목은 키친이었나?여튼, 그러다가 하루키의 ‘69’ 라는 책을 읽었는데 여지없이 재밌더군.확실히 하루키는 두꺼운 책장을 가볍게 만드는 재주가 비상하다. 술술 넘어가게 하지. 그 후에 전태일 평전을 읽었는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