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베토벤’을 죽이지 않았다

어느 의과대학에서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을 했다. “한 부부가 있다. 남편은 매독, 아내는 폐결핵을 앓고 있다. 이 가정에는 아이들이 넷 있는데, 하나는 며칠 전에 병으로 죽었고, 남은 아이들도 결핵으로 누워 살아날 것 같지 않았다. 이 부인은 현재 임신중인데,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 그러자 한 학생이 “낙태수술을 해야 합니다.”하고 소리쳤다. 교수는 “자네는 방금 베토벤을 죽였네.”라고 말했다. ————————————————— 싸이월드나 … 더 읽기

‘문사철’을 아시나요?

文史哲은 ‘문학 역사 철학’의 줄임말로 인문학 공부의 기본이자 핵심을 일컫는다. 곰팡내 나는 문학책 고리타분한 역사책 말장난같은 철학책 이 세가지와 함께 발효되지 않고선 정신건강에 좋은 말과 글이 나오기 힘들겠지. 용현이가 빌려 온 pd지침서에 이리 나와있더라 ‘남들 다 읽는 책을 읽으면 남들 다 쓰는 글 밖에 안 나온다’

No Subject (guest)

어머니를 때리는 아버지를 혐오했던 남자가 커서 아내를 때리게 되거나, 괴롭히던 고참을 향해 이를 갈던 군인이 나중엔 더 지독한 악마가 되는 경우 괴물과 싸우면서, 괴물의 피가 흘러 들어오진 않았는지 점검해 볼 것

No Subject (guest)

니체가 이런 말도 했더군 누구든 젊은 시절에는 마음껏 놀아야 한다. 오래도록 활자의 숲에 잠겨있으면 그곳에서 빠져나올수 없게 되는 법

No Subject (guest)

누구든 괴물과 싸우는 자는 그 과정에서 자신이 괴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오래도록 나락을 들여다보면 나락 또한 내 쪽을 들여다보는 법 – 니체, 소설이자 영화인 ‘GO’에서 주인공 아버지가 인용

No Subject (guest)

그리워하는데도 한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 피천득, 인연

No Subject (guest)

사람이 사람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예우는, 기억해 주는 것이다 – 육군훈련소 27연대 분대장이 퇴소식 날 건넨 말 누군가는 다른 누군가에게 기억됨으로 인해 영원히 살겠지 너는 널 기억해 줄 후배를 키워야 한다

No Subject (guest)

사람이 언제 죽는다고 생각하나? 심장이 총에 뚫렸을 때….? 아니, 불치의 병에 걸렸을 때….? 아니, 맹독 버섯 스프를 먹었을 때……? 아니야! 사람들에게서 잊혀졌을 때다……            원피스 히루루크 명대사 中   선장님 절 죽이지 마세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