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에도 에프터 서비스가 필요하다.

어제는 4월의 마지막 날. 지구 온난화로 사계절 경계가 흐려지는 요즘 봄날의 마지막이라 할 수 있는 점심을 자율전공 새내기와 함께했다. 작년, 내가 학생회장 할 때 자율전공 애들이 오면 알콩달콩 재미나게 살아봐야지~~ 했으나… 06학번 자율전공생은 단 한명도 오지 않았따… … …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 자율전공을 대상으로 학과 홍보를 나섰지. 당일 반응은 그닥 열렬하지 않았는데, 예상외로 올해는 … Read more

짱돌이 무겁다면 투표지를 들어라

‘토플책을 덮고 바리게이트를 치고 짱돌을 들어라’ ’88만원 세대’ 의 부제목을 좀 빌려왔다. 오늘(4월 8일) 중앙일보에 ‘미국 영파워 투표열기…’ 란 기사를 보고 느끼는 바 있어 긁적여 본다. 기사를 보면, 펜실베이니아대 학생이 주소를 캠퍼스로 옮기는 행정절차에 하루를 소비하면서도 유권자 등록을 했다. 이런 영파워 돌풍으로 힐러리의 우세지역이던 펜실베이니아주 경선이 예측 불허, 힐러리와 오마바는 등록금 공약 같은 젊은이들의 관심사를 … Read more

[갈무리] 세상을 바꾸는 기사, 당신이 만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3월 12일 기사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803/h2008031222130222020.htm 한국일보 3월 14일 기사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803/h2008031322130222020.htm 오늘 갈무리는 제목이 거창하죠? 그런 거창한 기사를 만났기 때문입니다. 한국일보 3월 12일 기사에서 ‘이화여대와 서강대의 휴학생 등록금 반환 규정 위반’을 고발합니다. 바이라인(기사를 작성한 기자의 이름이 들어간 줄)을 보니 이화여대 정외과 학생이 인턴으로 참여한 기사라 눈 여겨 두었습니다. 오늘 아침에 취재 대상이 좀 더 넓어진 후속 … Read more

[갈무리] 우리의 학점, 너무 과분한게 아닌가요?

종종 신문 기고란을 보면 내가 평소 생각하던 난제들을 내 대신 딱 부러지게 이야기 해 주는 글들을 만난다. 오늘도 완전 일치하진 않지만 그런 반가운 글 하나! 반면 읽다보면 불이 뿜어져 나올만큼 짜증유발 칼럼도 존재하는데 주로 매일신문의 명예주필 아저씨가 그 주인공이다. 젠장! 그 아저씨는 분명 안티팬들이 많을거야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3091733305&code=990507 오늘자 경향신문 오피니언란에 실린 글입니다. 요약하면, 요즘 취업 … Read more

뭘 모른다고? ‘세상은 야성을 잃지 않은 자가 바꿔가는 것’

네이버 연재소설 ‘촐라체’ 산악인들의 이야기를 네이버라는 무시무시한 곳에 연재하는 소설가 박범신 군대 고참 박법신과 이름이 비슷해서 깜딱 놀랐다. 그 박범신씨가 네이버 연재소설을 책으로 펴냈다. 오늘 인터뷰 기사가 나왔는데 마지막에 이런 말을 덧붙이더군 “세상은 야성을 잃지 않은 ‘미친놈’들이 바꿔가는 것” 응!  옮거니! 이전 세대가 만들어 놓은 잣대에서 벗어나려는 이에게는 이런 경고음이 울린다. ‘세상물정 모른다, 주위 사람 피곤하게 … Read more

[갈무리] 누구는 9학기 졸업? 누군가에겐 46년만의 졸업!

요즘 9학기 등록하는 대학교 5학년생은 흔한걸 넘어 우리과에서는 당연시 되어버린듯 합니다. 엊그제 졸업식엔 신방과 최초의 외국인 학부생이 졸업을 했습니다. 05학번 구어쉬가 조기졸업을 하고 우리학교 경상대학원에 입학을 한답니다. 중국에 있는 자기집 보단 덜 추울 텐데 추워서 바들바들 떨며 사진 찍고 들어가야 된다네요. 매일 수업 끝나고 도서관 직행하던 애였는데, 도서관으로 가는 발목을 좀 더 자주 붙잡아 놓아야 … Read more

[갈무리] 취업기본은 학점 3.64 / 토익 776점

매일 20부의 신문을 보면 다른 친구들과 꼭 나누고 싶은 기사들이 있습니다. 이제 ‘갈무리’라는 머릿말을 달고 책갈피 게시판에 꽂아 보려고요. 갈무리란 단어는 PC 통신 시절 ‘이야기’ 프로그램을 썼던 분이라면 아실텐데요, 프로그램에서는 ‘화면 캡쳐’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국어사전에는  ‘물건 따위를 잘 정리하거나 간수함’ 으로 나와있는데 스크랩을 대체할 우리말이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신방인들이 풍부한 해석과 적용의 자의성을 허하시리라 믿습니다. 작년에는 시를 … Read more

감동이 빠진 “자기 계발서의 함정”

하루 20부 가량의 신문을 보는게 업무다 보니, 맘에 드는 칼럼을 종종 만난다. 오늘은 매일신문 조두진 문화부 차장님의 “자기 계발서의 함정” 을 보고 고개 끄덕이는 바가 있어 연습장에 끄적여 본다. 공부 잘 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 기도하는 학생에게 신령이 나타나 ‘국 영 수 를 중심으로 열심히 해라’ 했다는 썰렁 개그로 성공엔 지름길이 없다는 이야기를 시작한다. 사람을 … Read more

닫는 자 무너지고, 여는 자 일어선다.

휴대용 저장매체는 디스켓-> CD-> DVD 순으로 발전해 왔는데 DVD 다음 표준 저장매체를 놓고 소니 진영과 도시바 진영간의 대결이 지난 6년간 펼쳐졌다. 도시바의 ‘HD DVD’와 소니의 ‘블루레이 디스크’ 각 매체의 기술적인 장단점은 생략! 경제신문에 난 기사를 일부 발췌해 보자 전문가들은 “도시바의 패인은 특허 수입에 몰입한 나머지 다른 가전업체들을 끌어들이는 데 실패했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미국의 대형 영화사들을 … Read more

홍보의 오해, 스파이, 조금 쓰림…

네, 기획과 홍보팀 핵심요원 박준희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오늘은 좀 씁쓸한 일이 있어서요. 누가 씁쓸하게 만든게 아니라 상황이 그렇게 되었습니다. 좀 더 엄격하게 말하면 제 일처리가 미숙하기 때문이죠. 요즘 기획과 대외협력 홍보팀 화두는 로스쿨에서 등록금 협상으로 넘어가는 추세입니다. 2월 20일에 기성회 이사회가 있는데 총학생회에서 본관에 찾아 온다고 하더군요. 대외 홍보담당 선생님이 말하길, ‘제작년쯤에 학생들이 등록금 투쟁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