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으로 대회를 연다는 걸 아시나요?

안녕하십니까! 신념이 있는 신명을 전해드리는 신문방송학과 02학번 박 준 희 입니다! 제목이 무슨 대회 홍보글 같지만, ……음, 이미 끝난 대회입니다. 6월 3일 경북대 사학과가 개최했던 토론대회에 감히 신문방송학과의 이름을 걸고 01학번 이형수 선배랑 02학번 나부랭이인 제가 출전, 그 정점에 섰습니다!!!   쿠구궁~ 대회 소식은 대구지역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매일신문 2006년 6월 5일 29면 우측 상단에-가로 10cm … 더 읽기

[급구] 같이 점심 드실분을 찾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신문방송학과 02학번 박준희입니다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도 홈페이지에 가입한 것도 첨이네요 학교를 거의 안 다니다 잠시 군대갔다 복학해 보니 같이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을 섭취할 사람이 아무도 없습니다 사람 사는게  독고다이, 독불장군처럼 혼자서 가기는 힘들지 않습니까? 학교도 수업도 낯선 복학생과 따싸~한 점심식사를 같이 하실분을 찾습니다 제가 닫힌 과방의 문을 열어도 되겠습니까?  (추운데 열어놓진 않았겠죠??) 복이/02지은 학번은 우리 동기인것 … 더 읽기

비주류라도 괜찮아~ (미선이 이야기)

미선이를 만났다. 언제 처음 만났는지 확실히 기억난다. 05년 복학 첫 해 MT 장보러 간 칠성동 이마트에서 첨 봤다. 그 때 성준이형이 미선이 이름이 갑자기 기억 안 난다며 내게 살포시 물어봤었는데, 나 역시 처음 보는 아가씬 걸~ 그리고 06년 이후 햇수로 3년을 못 봤으니까, 보고 지낸 기간보다 못 보고 지낸 기간이 더 길다. 15개월 간 동남아시아 … 더 읽기

응, 아직은 순진하련다.

새마을금고연합회 논문 12편과 1년치 관련기사를 프린터해서 참 연구 많이 했다. A4 용지로 1천 장쯤 되는 분량일거다. 면접은, 그것도 최종 면접은 합격과 불합격의 원인을 가늠할 수 없는 법. 그러나 또 차후를 위해 복기해 보자. 내가 내린 결론은 하나다. 아직 새마을금고연합회는 노조 문제를 옹호해서는 안 되는 곳이다. 면접관이 묻더라고 “쌍용차의 노조파업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내가 대답했지 … 더 읽기

No Subject (guest)

전쟁의 최초의 희생자는 진실이다. – 종국작가 필립 나이틀리, 강준만 ‘한국대중매체사’ 339쪽 재인용 6.25 당시 특파원들은 미군 홍보부서가 제공하는 지도만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제공받아서 언론매체에 보도한 그림은 거짓과  반 정도의 진실, 그리고 상당한 왜곡의 믹스였다나…

No Subject (guest)

복권은 보수주의자들이 지지하는 유일한 세금이고 진보주의자들이 받아들이는 유일한 역진세이다 – 윌리엄 새파이어, 데이비드 G 마이어스 ‘직관의 두얼굴’ 339쪽에서 인용 복권이 아주 수월한 조세 충당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이 복권을 더 많이 구매하는 것이 결국 역진세와 같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참고로 역진세는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많은 세금이 부과되는 걸 말한다. 반대말은 누진세.

낚시 – 마종기

낚시시질하다가 찌를 보기도 졸리운 낮 문득 저 물 속에서 물고기는 왜 매일 사는 걸까. 물고기는 왜 사는가. 지렁이는 왜 사는가. 물고기는 평생을 헤엄만 치면서 왜 사는가. 낚시질하다가 문득 온 몸이 끓어오르는 대낮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고 중년의 흙바닥 위에 엎드려 물고기 같이 울었다. 최근에 알게된 시인데 좋아서 올려~

신해철의 쾌변독설

“우리가 입을 것 못 입고 먹을 것 못 먹고 너희들을 기르는데다가 우리 인생을 희생했다고 하잖아요. 자식들이 입지 말라고 얘기한 적 없고 먹지 말라고 얘기한 적 없거든요. 자기가 좋아서 한 거잖아요 그게 사실이라고 쳐도 그게 사실이라면 자기 좋아서 한 것을 가지고 아래세대들에게 그것을 인정해 달라고 외치는 순간 모든 게 끝나는 거구요 점잖게 앉아 받아먹는 수밖에 없는 … 더 읽기

프랑스 68, 일본 69, 그리고 한국의 70

한 4년 쯤 전이다.하도 하루키 하루키 하길래 ‘상실의 시대(원제인 노르웨이의 숲이 더 멋있다)’부터 댄스댄스댄스… 뭐 지금은 제목도 잘 기억 안 나는 일본작가 작품들을 연달아 읽었더랬다. 요시모토 바나나도 있었던 것 같고. 제목은 키친이었나?여튼, 그러다가 하루키의 ‘69’ 라는 책을 읽었는데 여지없이 재밌더군.확실히 하루키는 두꺼운 책장을 가볍게 만드는 재주가 비상하다. 술술 넘어가게 하지. 그 후에 전태일 평전을 읽었는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