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라는 이름의 굴레

학생회장 시절, “선장의 편지” 라는 이름으로 학과원들이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에 대한 글을 썼는데 생각보다 몇 편 못 쓰고 중단됐었다. 이건 4편. 졸업전에 마무리 해야지 ————————————————— 신해철이 일간지 인터뷰에서 ‘날 진보라 부를때 좌절한다’고 했는데, 저는 후배들이 절 ‘이상주의자’라 부를 때 좌절합니다. 신해철 자신은 그냥 ‘원칙론자’인데, 개념 상으론 보수라 칭하는게 더 어울리는 자신을 진보라 부르는 … 더 읽기

이준구 교수처럼 쓴소리 해 줄 사람이 신방과엔 없는가?

일단 기사 일부분을 읽어보고 시작하자 ————————————————–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10일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올해 정시 합격생들을 대상으로 열린 특강에서 서울대가 ‘막장교육’으로 가고 있다고 작정한 듯 비판하고 나섰다. 이 교수는 “미국 명문대라도 영어로 강의하는 것만 다를 뿐 내용은 (우리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서울대 출신의 세계적인 학자는 거의 없다.”면서 “이는 단순 주입 암기식 교육과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의 … 더 읽기

No Subject (guest)

학자는 정의하는    명사 기업가는 움직이는 동사 언론인은 연결하는 조사 – 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각 직업군을 품사에 대입하면 뭐가 될 까 궁리해 봤다

No Subject (guest)

음악 교과서에 실린  ‘라 쿠카라차’ 원래 멕시코의 민요인 라 쿠카라차는 바퀴벌레라는 뜻 1910년 멕시코 혁명 지도자 판초 바야가 등장한다 아래는 라쿠카라차의 원래 가사 라 쿠카라차 라 쿠카라차 이제 더 이상 살 수가 없어 먹을 것이 없기 때문에…… 누군가 나를 미소짓게 하네 그는 바로 셔츠를 벗은 판초 비야 이미 카란사의 군대는 도망가버렸네 판초 비야의 군대가 오고 있기 … 더 읽기

No Subject (guest)

술을 마시되 취하지 말고 사랑을 하되 감정에 매몰되지 말고 훔치되 부자들의 것만 건드려라 -판초 비야(1878~1923)

치즈케익의 달콤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작년 하반기 시작할때 쯤, 환희에게 썼던 편지 엠바고(보도기간 유예) 해제 —————————————————– 치즈케익을 함께 하기로 했으나, 요즘 내가 사춘기를 겪으며 사인 그래프의 최저점을 찍고 있는 형국이라 날짜를 기약하기 어렵다. 한 테이블에서 치즈조각을 나누기 전에 들려주고픈 이야기가 있어 키보드를 톡탁인다. 말보다는 글이 더 정제되고 정리되며 기록할 수 있기에 ………………………………. 환희는 PD가 되고 싶어 합니다. 실물보다 사진이 좀 … 더 읽기

김치를 쏟다

냉장고에서 꺼낸 김치 한 통을 순식간에 쏟았다 몸이 쏟아져 나왔다 응고되지 않은 몸속의 피가 범벅이 돼 있는 김치 발효된 아우성 소리 제몸에 사무치게 부풀리던 숨소리를 깊고 뜨겁게 남겨 놓으려고 한듯 김치통 내부가 온통 붉은 물이 들어 있었다 수세미로 박박 문질러 닦아도 쉬이 지워지지 않는 저 아린 얼룩무늬들 김치 국물을 연거푸 닦는데 남은 자국들이 누군가 울다간 … 더 읽기

교수님들의,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

우리과 86학번 이강형 선배의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 – 선배는 85학번, 세상엔 잘못된게 많아 바로잡을 것도 많았다네 어떤 날엔 손에 펜을 쥐고, 어떤 날엔 짱돌, 어떤 날엔 깨진 보도블럭, 또 어떤 날엔…… 그렇게 펜 말고 단단하거나 뜨거운 물체를 잡는 날이 많아지던 때, 자기 같은 학생들이 북문에서 일청담까지 줄을 설 정도였다네 이건 비유가 아니라 진짜 사실, 언론학도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