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의 두 허들, 업무 문화와 프로세스
만약 우리회사에 AI가 진짜 제대로 정착되었다면. 그 이후엔 우리회사의 노하우나 정착기 같은 걸 외부 행사에 나가거나 책으로 엮어 내서 알려줘도 전혀 관계 없다고 본다. 왜냐? 문서나 툴은 쉽게 도입할 수 있지만. AI 친화적인 구성원의 인식(=업무 문화), 업무 프로세스. 이 두가지는 쉽게 도입할 수 없기 때문. 마치 내가 수영복은 쉽게 살 수 있으나 수영 실력은 쉽게 … 더 읽기
만약 우리회사에 AI가 진짜 제대로 정착되었다면. 그 이후엔 우리회사의 노하우나 정착기 같은 걸 외부 행사에 나가거나 책으로 엮어 내서 알려줘도 전혀 관계 없다고 본다. 왜냐? 문서나 툴은 쉽게 도입할 수 있지만. AI 친화적인 구성원의 인식(=업무 문화), 업무 프로세스. 이 두가지는 쉽게 도입할 수 없기 때문. 마치 내가 수영복은 쉽게 살 수 있으나 수영 실력은 쉽게 … 더 읽기
20년 전 내가 대학생 때는 머리 염색이 유행이었다. 주로 노란색 계열로 탈색하는게 일반적이라고 할 정도. 그냥 대학생의 특권 같은 느낌이랄까. 당시 ‘노랑머리’라는 제목의 영화도 사회 이슈가 될 정도. 노란 염색 자체가 당시 젊은 세대의 상징. 요즘 문신이 20년 전 대학생 염색과 동일한 건 아닐까 싶다. 인간이란게 원래 성인이 되고 내 몸을 내 맘대로 할 수 … 더 읽기
복기 프로그램 영상
복기 프로그램 영상
7월 말일에 시작해 오늘이 8월 말. 만 한달 동안 내가 듣는 수업 강사 두 분이 그만두고. 샤워실에서 이야기 들어보니 다른 강사도 또 한분 그만둔다. 사설 수영장이고 회비도 관악구에서는 싸지 않은 수준인데. 대체 얼마나 강사 처우가 열악한건지. 아니면 그냥 수영강사라는 직군 자체가 쓰리디 직종인건지. 결국 강사가 충분한 대우를 받을 수 있어야 취미 수영인들도 지속적으로 양질의 강습과 … 더 읽기
조선말 = 조선기업? 한국어 번역과 한국어 정보는 역시 한국 기업인 네이버나 카카오가 구글 같은 실리콘밸리산 테크 기업보다 잘 할 거라는 막연한. 하지만 당시만 해도 당연한 기대가 있었다. 그것도 딥엘을 써보기 전까지 이야기. 전에는 영한 번역기로 파파고를 쓰면서 꽤 만족했는데. 결과적으로 요즘은 즐겨찾기에 딥엘만 추가해 두고 파파고는 지워버렸다. ‘딥엘이 파파고 보다 낫다’는 말. 처음엔 안 믿었다. … 더 읽기
복기 프로그램 영상 갤럭시 폴드5로 찍었는데, HDR10+ 효과가 뭔가 괴상한게 적용된 듯.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관악구에 살면서 이 책을 넘기니 예사롭지 않다. 필연적으로 10년 안에 한국 사회가 가장 큰 문제이자 해결할 현안이 될 문제. 전 사회가 1인 가구로 살아가는 방법을 궁리하고 적용하고 개선해 나가야할 시점이 왔다. 가족을 구성하지 않고 혼자 살기를 선택하는 사람이 계속 증가하고. 취약한 사람을 가족이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현실에서 복지의 … 더 읽기
2023년 6월 독후감. 올 상반기에 AI 테마주가 한번 쓸고 지나갔고, 아직도 유효한건 골드러시 시대 확실한 수혜자가 리바이스였던것처럼 엔비디아 정도? 하반기 들어서는 AI 보다 보기엔 더 환상적인 ‘초전도체’라는 게 등장. 앞으로는 또 어떻게 갈건지. 결국 AI로 진짜 돈이나 손에 잡히는 편익을 확실히 주는 업체들이 투자처로서도 각광받겠지. AI가 대단하다 아무리 떠들면 뭐하나. 결국 그걸로 내 일에 도움을 … 더 읽기
2023년 5월에 쓴 독후감. 석달이 지난 지금도 혁명은 조용히 퍼져나가고 있다. 생각보다는 급진적이지 않은 속도로, 하지만 불가역적인 방향으로. ‘AI 등장과 도입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우리가 논해야할 지점은 AI 도입 여부가 아닌 활용 여부!’라는 식의 책은 이제 그만 나와도 되지 않을까. 아니, 내가 이미 그런 마인드 셋을 가지고 있다 보니 나만 그리 조급해하는 건지 모르겠다.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