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트레이닝] 양쪽 어깨 회전근개 회복이 우선

고중량 벤치프레스를 할때 어깨가 살짝 아팠던 건 반년쯤 되었지만, 이렇게 오십견 수준으로 가동범위가 축소되고 뻐근해진건 대략 한달 남짓. 그나마 다행인건 2월 초 은근슬쩍 다가온 목감기를 물리친 것. 올 2월은 3월 4월을 대비해 온전한 몸을 만드는 기간. 고중량보다 저중량 고반복으로.

마사지 단상

‘우리 세대가 중국인 노동자에게 마사지를 받는 마지막 한국인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현재는 저임금 중국 노동자를 고용해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중국의 급격한 경제발전에 따른 임금 상승으로 조만간 중국인 마사지사를 볼 수 없을 거라는 이야기. 그런데, 올해 CES에 안마의자 회사인 바디프렌드가 인공지능 탑재 안마기기를 내놨다는걸 보고 좀 다른 생각이 들었다. 즉, ‘우리가 사람에게 마사지를 받는 마지막 … 더 읽기

1분 버핏

요약에 능한 일본이 만든 책 답다. “가격은 살 때 지불하는 것, 가치는 팔 때 손에 넣는 것.” 현재 주식의 총 가치인 시가 총액이, 회사의 실제 가치보다 낮다면 산다. 마치 ‘만원짜리를 오천원에 팔고 있으면 산다’처럼 당연한 이야기지만, 가치를 어떻게 산정할 것인가가 문제. 버핏의 장기투자 관점에서 좀 부연하자면, 현재는 좀 저평가 됐지만 장기적으로는(즉, 내가 팔아서 가치 실현할 … 더 읽기

씀씀이는 이성이 아닌 심리가 결정! ‘착한 소비의 시작 굿바이 신용카드’

하루가 다르게 혹은 늦어도 한해가 다르게 변하는 금융/경제판에서 이미 7년이 지난 2010년도 발간 서적. 그래도 당시 예금 금리가 3~4퍼센트 씩이나 됐구나 싶은거 말곤 어색한 내용이 없었다. 신용카드를 대신할 금융 상품을 설명하는 책자가 아닌, 개인의 소비 생활에 대한 철학을 제시하는 책이라 생명력이 오래 가는 듯. 돈 문제는 심리에 의해 결정된다. 흔히들 돈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논리적으로 접근한다고 … 더 읽기

장강명, 5년 만의 신혼여행(을 가장한 보라카이 관광 가이드)

재밌다! 원래 작가의 글이 나랑 잘 맞는건지 아니면 작년 보라카이 여행이 떠올라 재미가 배가 된 건지 모르겠다. 보라카이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추천, 보라카이에 갈 사람이라도 추천. 이 에세이가 몹시 유명해지면 여기 등장하는 음식이나 숙소 등이 일종의 성지순례 장소가 되겠으나, 아마 그정도는 되지 않을 것 같고. 오히려 아는 사람만 아는 은밀한 즐거움으로 ‘여긴 그 책에 나왔던 그 … 더 읽기

지옥행 특급열차에서 내려 환승 대기중인 대한민국

이번 박근혜 사태를 계기로 한국의 미래, 정치에 대한 희망을 찾았다.   이전에는 한국이 필리핀행 급행열차표를 끊었다 생각했거든. 근데 이번에 그네찡 탄핵안 가결을 보니, 열차표 버리고 플랫폼에서 새 열차 기다리는 중으로 보임. 실제 다음에 어떤 열차를 탈지 모르겠는데 하여튼 필리핀 행은 그나마 아닐 듯.   곧 죽어도 1번인 사람들부터 별 뜻 없이 각양각색의 이유로 1번 찍은 사람들이 … 더 읽기

김규항의 좌판 中

김규항: “‘음악가에게 가장 행복한 순간은 공연에 성공하거나 음반이 대박 났을 때가 아니라 친구들과 연주할 때’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실험예술이야말로 사람 사이의 경계와 시장의 지배를 허무는 행위일 수 있겠구나 싶습니다. 이한주: 행위이자 놀이, 바로 그겁니다. 오세혁: 쿠바에 농업 견학 갔던 농민들이 땡볕에 일하는 쿠바 청년에게 꿈이 뭐냐고 물었는데, “지금처럼 농부로 살아가는 거”라고 해서 울었다고 해요. 한국에서 살아가기 … 더 읽기

조정래 장편 소설, ‘한강’의 일부

‘해방 이후 지금까지 육군 참모총장이 하나도 빼지 않고 전부가 일본군 출신이라고 적고 있었다.’ 소설의 한 대목인데, 위키를 찾아보니 적어도 1대부터 18대까지는 모두 일본군이나 만주군 출신이 맞다. https://goo.gl/VxpMKI 18대 김계원 대장: 1966-1969. 일본군 학병, 군사영어학교 1기. 이런 역사를 직시하지 않는 조직이 어찌 떳떳할 수 있을까. 작가란 태생적으로 모두까기 인형 “미국은 1950년대 초반부터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 동맹국의 높은 출생률을 … 더 읽기

하이엔드 찜질방, 스타필드하남 아쿠아월드

– 이전까지 내가 경험한 최대, 최고의 찜질방은 부산 센텀시티 찜질방이었다. 스타필드가 센텀을 뛰어 넘었는지는 몰라도 비슷한 수준은 될 것. 둘 다 신세계가 만든 거라 구성이 묘하게 비슷. – 입장료가 2만 2천원인데 아직 어떤 소셜커머스에서도 할인 티켓을 구할 수 없다. 오픈 초기라 가격 관리가 잘 되는 듯. – 스타필드 인근에 대형 식당들이 즐비하지만, 과연 스타필드 온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