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호텔의 피트니스 센터(헬스장) 후기

우연한 기회로 메리어트 남대문 호텔에 가 봤다. 호텔에 딸린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후기를 남겨본다. – 서울 도심에 있는 호텔인지라 건물 전체가 공간을 오밀조밀하게 쓰는 느낌인데, 헬스장은 예상외로 넓은 편 – 좌측에 트레드밀 우측에 머신, 중앙 끝에 덤벨 – 헬스장 면적에 비해 프리웨이트 존이 넓긴한데, 바로 옆에 머신이 붙어있어 실제 여럿이 운동하기엔 불편할 듯 – 프리웨이트 … 더 읽기

은하계 최초 잡놈 김어준 평전

논리? 논리가 정말 중요한가! 논리가 모든 것에 우선인 세상이라면 이명박은 왜 대통령이 돼야 하는데? 진보의 문제점이 뭔지 알아? 다른 거 필요없어. 자기가 옳다는 것이 확인되면 그게 최고야. 지구가 멸망해도 자기의 주장이 맞으면 그게 최고인 거야. 그게 뭐가 그렇게 중요 한데? 논리가 정말 중요한가? 세상이 논리대로 돌아간다면 엄청나게 합리적인 세상이겠지. 경제학이 가정하는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이 존재한다면 … 더 읽기

[가나다 기행] 10. 캐나다 사회에 대한 단상

여행 12일 간, 아니 비행 시간을 제외한 순수 체류시간으로는 11일 가량의 캐나다 여행을 통해 한국과 캐나다 사회를 최대한 비교해 보고 싶었다. 나는 어떤 사회에서 사는 게 더 나을지, 혹은 내가 사는 사회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할지에 대한 실마리를 얻으려 했다. 그 실마리들을 잊지 않기 위해 ‘가나다기행’이라는 연작 포스팅을 기획했는데, 예상보다는 혹은 예상대로 그 때의 감상을 세세히 … 더 읽기

‘퍼펙트 크루저 나인’의 가나다 항해 결산 편지

하이 헬로우 여러분. 쿠, 돌, 선장이 함께한 퍼펙트 크루저 나인 호의 가나다 기행을 마치고, 한 달 간의 제 장기 휴가가 끝나는 밤 저녁, 여러분께 편지를 씁니다. 기억나? 침대 배정 사다리타기 게임할 때. 너희들은 쿠나 돌이라고 쓰는데 난 쓸 만한 별명이 없었지. 그리고 너희들은 ‘이 특색 없는 놈’이라고 했어. 여행 내내 나의 특이성의 화두 중 하나였는데 … 더 읽기

나는 상식적인 회사에 다닌다

한 달 간의 유급휴가 마지막 날 소감을 기록으로 남긴다. ‘n년 근속시 한 달 간의 유급휴가를 제공한다’는 회사의 복지 제도. 나는 만 n년하고 몇 달 근무 후 원하는 날짜에 휴가를 쓸 수 있었고, 그 동안 업무 관련 전화는 한 통도 걸려오지 않았으며, 내가 처리 할 업무와 확인 할 사항 때문에 동료에게 두 번 연락한 것이 다였다. … 더 읽기

[가나다 기행] 9. 에어캐나다, 밴쿠버/토론토 공항, 캐나다와 미국 입국 심사

에어캐나다 한국에서 캐나다 직행을 타려면 아마 대한항공과 에어캐나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텐데, 둘의 가격차가 생각보다 작다. 대략 10만원 수준이었는데, 어차피 100만원쯤 하는 비행펀, 좀 더 내고 국적기타려 했는데 ‘밴쿠버-토론토’ 구간을 포함한 다구간 비행편을 구하다보니 둘의 가격차가 넘사벽이 된 것. 그냥 소시민으로 돌아가 에어캐나다 결제 완료. 내가 탄 건 국제선, 국내선(밴쿠버-토론토) 모두 보잉사의 드림라이너 신형기종 같았다. … 더 읽기

[가나다 기행] 8. 개, 그리고 캐나다의 동물 보호

어느 사회의 양식을 가늠해보는 한 기준은, “그 사회의 소수파가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가” 라고 한다. 장애자를 위한 정부예산은 그 국가의 국민 총생산에 비례하지 않고, 그 국가의 민주화 정도에 비례한다는 조사보고도 있다. 민주화란 것은 결국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사회의 건설이고, 그런 사회에서는 고통받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다수의 사람들이 애정어린 관심을 갖게 된다는 뜻이겠다. 조갑제 씨가 쓴 … 더 읽기

[가나다 기행] 7. 술과 음식 이야기

‘내가 먹는 곳이 곧 나’라는 표현이 있다. 영양학이나 생리학적으로 접근할 수도, 문화적으로 접근할 수도 있는 표현. 캐나다 사람들이 먹는 음식을 통해 이 사회를 이해해보려고 했다. 결국 캐나다 사회를 이해한다는 거대담론을 건드린 것은 아니나, 개인 소감을 미리 정리해봤다. – 외식이 비싸고 밖에서 술 먹는 것도 여러모로 빡세서 집 안에서 먹고 즐기는 게 일상이다. – 캐나다는 ‘놀러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