꾿빠이, 이상. 독서토론 단상

■ 이상의 작품 세계 멋대로 해석하기 얼추(자세히가 아닌 ‘얼추’인 게 중요하다) 몇 개 읽다보니, 일자리와 아내 두 개 키워드로 압축된다.더 날것으로 들어가면 먹고사니즘과 연애. 100년 전에도 구직은 어렵고 아내랑 잘 지내는 것 역시 힘들었구나.사람사는거 역시 다르지 않다 새삼 느낌. ‘비범한 작가는 밥 먹다 아내가 뒤집어 놓은 숟가락만 보고도 작품을 만들 수 있는데,그렇지 못한 작가는 세상이 … Read more

성공을 파는 사람들, 뜨거웠던 한때와 차디찬 지금

자청의 역행자가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1위까지 오르는 걸 보고 상당히 의아했었는데. 결국은 사단이 나는구나. 유튜브에서 각종 가십거리를 다루는 채널들이 다수 몰려들어 물어 뜯는 중. 자기계발서 콘텐츠는 마치 장르문학 같은 거라. 누군가는 선호하고 다른 누군가는 고개를 젓지만. 그 장르 자체가 옳고 그를리는 없다. 사회상에 따라 각기 그 시점에 잘 팔리고 덜 팔리는 장르가 있듯. 이제 성공 장르의 … Read more

센슈얼 바차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에너지의 흐름

무슨 기 수련원에서나 할 법한 이야기긴 한데. 오늘 센슈얼 바차타 기초를 새로 배우면서 새삼 느낀 점이다. 살사가 0과 1이 스위칭되는 온/오프 버튼이라면. 바차타, 특히 센슈얼바차타는 min에서 max를 오가는 조그셔틀이나 볼륨 버튼 같은 아날로그다. 남자가 주는 신호가 아날로그라는 것. 이 신호를 주고 받는게 에너지이고, 그 수단이 호흡이나 프레임이다. 재밌네.

‘굳빠이, 이상’ 문학작품의 본질적 가치가 뭔가?

‘소설가 이상의 데드마스크와 미발표 작품의 진위여부’가 이 소설의 소재다. 문학작품에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본질적 가치가 무엇일까? 그 작가가 직접 썼다는 사실 관계인가? 아니면 작품의 완성도, 즉 그 완성도를 통해 얻는 교훈이나 카타르시스인가. 평단과 문학계는 이상이 직접 썼다는 사실 관계가 중요하지만, 절대다수의 독자는 작품의 완성도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문학의 완성도라는게 기계적 완성도와 달리 정밀하게 효용을 수치화하긴 어렵지만. … Read more

격세지감. 온라인이 오프라인 판매액 넘었다.

회색 코뿔소라는 말이 있던가. 저 멀리서 분명히 다가오는데도 불구하고 간과하고 있다가 당황하게 되는 상황. 온라인 매출이 오프라인 매출을 넘어섰다. 물론 통계 자료마다 조금씩 상이하겠지만. 큰 흐름이 변하지는 않는다. 10년을 넘게 이 판을 지켜본 바. 감회가 남다르다. 어쩌면 투자도 일도 시간도. 이런 명백하고 확고하지만 천천히 뚜벅뚜벅 다가오는 실체에 투자해야 하는 게 아닐까. https://www.etnews.com/20240130000289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_토론 후기

곱씹을 거리가 많은, 영양가 높은 토론이었다. 운동도 토론도, 결국은 양이 질을 만드는게 아닐까? 길게 오래 이야기하다보면 결국 논의의 질도 높아지는 것. 모든 토론은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 혹은 합의부터 한글로 된 ‘감정’이라는 단어를 똑같이 읽고 쓸 수 있다 해서 감정에 대한 상세 정의까지 모두 같을 수는 없다. 게다가 기존 학계 주류에 반한다는 ‘구성주의 관점’ 같은 새로운 … Read more

그간 내가 연습한 건 춤이 아니라 체조

살사 동호인이 된지 10년이 넘었다. 어떤 취미건 일정 기간을 넘어서면 그 후부터는 실력이 거저 늘지 않는다. 대개의 배움이 선형적 증가가 아니라 계단식 발전이라고는 하는데. 몸을 쓰는 배움은 그 체감이 더 크다. 살사에서 요즘 내 화두는 ‘어떻게하면 프로댄서들처럼 리드미컬한 베이직 스텝을 밟을 수 있을까’인데. 어제 저녁 인우 선생님과 대화를 통해 깨친 바가 있다. 선생님의 조언은 ‘살사 … Read more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_구성된 감정이론

구분 고전 감정 이론 구성된 감정 이론 감정의 본질 감정은 마치 메뉴에 있는 정해진 요리처럼 미리 정해진 것이에요. 예를 들어, ‘기쁨’, ‘슬픔’, ‘분노’ 같은 감정들이 있죠. 감정은 마치 샐러드 바에서 내가 원하는 재료를 골라 만드는 것처럼 상황에 따라 달라져요. 진화론적 관점 생존을 돕기 위해 진화한 감정이라고 봐요. 예를 들어, ‘두려움’은 위험한 동물을 보고 도망치게 만드는 … Read more

살사학 원론_목차

대학교 들어가면 1학년 1학기에 ‘000의 이해’, ‘000학 원론’ 같은 자기 전공 이름이 달린 책을 사게 된다. 해당 학문을 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요소를 학술적으로 검증해서 정리해둔게 입문서인데. 살사도 만약 학술적으로 정리되어 있다면 저런 이름의 책이 생기지 않을까. 살사를 잘 추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얼추 20개 내외이고, 이걸 잘 이해하고 몸에 체화하면 잘 출 수 밖에 … Read more

짐박스 보라매 vs. 짐인더하우스2

도보 5분 거리, 329m 떨어져있는 두 헬스장. 근데 짐인더하우스2는 저기가 입구가 아닌디… 건물 뒤편으로만 들어갈 수 있어 동선이 좀 복잡하다. 건물은 진입이 편해야하는데. 건물주의 판단인지… 저기 건물 입구에 원래 있던 작은 통로를 막고 상가로 활용하려나 본데. 심정은 이해하겠으나 결국 통로로 두는게 저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길일텐데… 나라도 선뜻 통로 면적 만큼의 임대소득을 포기하기는 어려울 듯.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