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김정운

공부라는 구체적 경험을 다시 배우는 요즘이다. 스스로의 간절한 필요가 있어야 공부의 방향이 명확해지고, 그래야만 공부가 재미있어진다……  삶도 마찬가지다. 내가 원하는 것이 구체적이지 않으면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 돈은 아주 막연한 거다. 그 돈으로 뭘 하고 싶은지 분명하지 않으면 돈은 재잉이다.  사회적 지위도 마찬가지다. 그 지위를 가지고 내가 뭘 하고 싶은 것인지 분명치 않으니 다른 사람들 … Read more

알랭 바디우, 사랑예찬

사랑이라는 다리 절기 거의 언제나 사랑은 순조롭지 않다. 비-관계를 통해 규정되는 두 성이 만나는 것 자체가 그러한 역경을 이미 예고하고 있다. 사랑에는 불협화음이 있다. 아주 현상적으로 말하면, 이는 남성의 입장과 여성의 입장 – 이는 생물학적 구분이 아니다 – 차이에서 연유할 것이다. 남성의 사랑은 벙어리이고 여성의 사랑은 이야기의 연속이라는 점, 남성의 입장은 고정성이고 여성의 입장은 방랑이라는 … Read more

의지만 있다면, K-MOOC

두 어번쯤 대학원 진학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 그것도 자발적이라기 보단, 정부기관과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학위가 필요하단 이야기가 나와서.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이 드는 생각, 돈 주고 사는 학위는 필요없다. 정말 그 학문을 공부할 맘이 들면 그때 빚을 내서라도 가겠다.  ‘평생 학습’ 관점에서 보면 케이무크로도 차고 넘친다. 온라인 수강으로 부족하면 그때서야 일년 천만원씩 들어가는 대학원으로 향해도 좋다 … Read more

성당 결혼식에서 만난 짝사랑의 흔적

성당 결혼식을 처음 경험했다. 논산 훈련소 시절, 햄버거랑 콜라 준다기에 성당 가 본 경험이 있어 섰다 앉았다 반복할 거라 생각은 했지만, 역시나 잦더라. 근데 맙소사. 식 후반부에 나오는 이건 성체기도 아녀. 대학시절 쫓아다니던 아가씨가 성당 다닌단 정보를 입수. 무턱대고 네이버에서 성당 기도문을 쳐서 외운 게 성체기도였다. 그냥 수업시간에 그녀에게 말 붙일 구실 하날 만들기 위해. … Read more

울트라 소셜. 타이레놀이 상비약인 이유를 알았다.

우리는 축구를 보고 있을 뿐이지만 거울신경세포 덕분에 우리 뇌에서는 실제로 축구를 하고 있는 것이다. 남이 하는 어떤 행동을 보기만 해도 내가 직접 그 행동을 할 때 뇌에서 벌어지는 일이 동일하게 내 뇌에서 나타나는 것. 이것이 거울신경세포의 작용이다. 거울신경세포계는 남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 보기 전에 이미 내 뇌에서 저절로 작동하는 공감 회로라 할 수 있다. 공감 … Read more

새 식구가 생겼다. 몬스터철봉2

사실 고민했다. 집에 뭔 철봉이냐고. 간소한 살림살이를 지향하는데, 어떤 가구보다 크고 무거운 철봉을 집에 들인다니… 대게 이 정도 고민할 때는 그냥 사는 게 낫다. 고민에 들어가는 시간과 정력이 더 아깝거든.  25만원 정도인데, 이 집 전세로 있는 2년 동안 꾸준히 활용한다면 한 달 1만원 값어치는 충분히 할 것.

‘안녕하세요, 시간입니다’, 여타 시간관리 서적 10권과도 바꾸지 않을 책

요즘은 뜸하지만, 자기계발서 중에서 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가 ‘시간관리’다. 이런 류의 책을 읽다보면 레드불처럼 잠시나마 고양되는 기분이 들고, 삶에 도움되는 원리원칙도 꽤 담겨 있으므로 대학시절부터 종종 봤다.  그런데 이 책은 내가 지금껏 봐 온 시간관리 자기계발서와 같은 항렬에 넣기가 미안하다. 이 독후감 카테고리도 사회, 경영이나 기타가 아닌 과학으로 설정했다. 시중의 시간관리 서적 10권과도 바꾸지 … Read more

‘여유롭게 살 권리’ 일에 지쳐 삶을 잃어버린 당신에게 전하는 오래된 미래, 강수돌

많은 사람이 죽음을 눈앞에 두면 세 가지를 후회한다고 한다. 먼저 내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좀 더 잘해줄 걸, 하는 후회다. 다음은 왜 그리도 바삐 허겁지겁 살았나, 책도 읽고 여행도 하며 좀 느긋하게 살 걸, 하는 후회다. 마지막으로 먹고사는 데 목매지 않고 정말 내가 하고 싶은 걸 하며 살 걸, 하는 후회다. 이런 후회를 하지 않고 … Read more

연애, 그것은 대화하는 일이다.

연애, 그것은 대화하는 일이다. 아무리 신체 활동이 최종 목적지처럼 보여도 실은 말, 말, 말을 하는 게 연애란 말이다. –> 한 권의 책에서 한 구절만 건지면 된다. 이걸로 족하다. 나머지는 부록이다. 벤저민 프랭클린 선생이 말씀하셨다. 사랑받고 싶으면 사랑하라. 그리고 사랑받을 만하게 행동하라. 온통 자기밖에 모르는, 타인 이해에 깜깜절벽인 사람도 흔하다. 그야말로 자기애가 넘쳐 보이는 그런 태도를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