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무기징역 쯤

노희경 작가의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몇 년 전 학과 게시판에서 이 글을 읽었는데 이제 책으로 엮어 나왔다. 일단 읽고 가슴을 치고 한숨을 쉬어야 이야기가 된다 —————————————————————- 나는 한때 나 자신에 대한 지독한 보호본능에 시달렸다. 사랑을 할 땐 더더욱이 그랬다. 사랑을 하면서도 나 자신이 빠져나갈 틈을 여지없이 만들었던 것이다. 가령, 죽도록 사랑한다거나, 영원히 사랑한다거나, … Read more

단 한번이라도 스스로를 사랑했는가?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힘 없는 책갈피는 이 종이를 떨어뜨리리 그때 내 마음은 너무나 많은 공장을 세웠으니 어리석게도 그토록 기록할 것이 많았구나 구름 밑을 천천히 쏘다니는 개처럼 지칠 줄 모르고 공중에서 머뭇거렸구나 나 가진 것 탄식밖에 없어 저녁 거리마다 물끄러미 청춘을 세워두고 살아온 날들을 신기하게 세어보았으니 그 누구도 나를 두려워하지 않았으니 내 희망의 내용은 … Read more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가엷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 기형도, ‘빈 집’——————————————————– 사랑을 잃고 한 달음에 써내려갔다아니, 이건 그냥 추측일 뿐인데 그랬다고 해두자‘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 Read more

물이 나오지 않는다.

학생 신분 끝, 일반인 신분으로 보낸 첫 날. 물이 나오지 않는다. 오전 내내, 일년 동안 비워뒀던 내 방을 정리했다. 중학교 체육복부터 작업복으로 써서 소매가 다 헤진 옷까지 정리하니 한 박스가 나왔다. 안 입는 옷을 이렇게나 많이 쌓아두고 살았구나. 대학 4년을 다녀놓고는 조그만 4단짜리 책장하나 다 못 채운다. 그나마 전공서적은 그 중의 한 단도 다 채우지 … Read more

불리지 않는 노래

06년도 부터 하고 싶은 이야기였는데 이제사 한다. 서로 자기들만 부르는 노래인 줄 알다, 그게 아니란 걸 알았을 때의 기분! 크아~~ 같은 자리에서 다른꿈을 꾸기도 하고, 다른 자리에서 같은 꿈을 꾸기도 한다 ———————————————– 06년, 전남대 신방과 교류학생 혜리랑 러브하지 않은 상태에서 러브로드를 걷고 있을 땝니다. 준희 : 이 땅에서 들리는 민중의 소리~ 바람 따라 자유가 혜리 … Read more

(분노하지 않는) 좋은선배 증후군

선장의 편지 5번째 쓰다가 자꾸 거대담론으로 넘어가서 다시 당겨 오느라고 애먹었다 처음 생각했던 제목은 ‘좋은선배 증후군’ 이었는데 앞에 ‘분노하지 않는’을 달았다 근데 ‘분노하지 않는 우리’ 라는 주제로도 할 말 많은데 말이지!! ——————————————————- 자판기에서 커피를 눌렀는데 컵에 밍밍한 물, 달달한 설탕, 부드러운 크림만 나온다면? 우린 분노할 겁니다. 왜 쓴 맛을 내는 커피가 안 나오냐고! 네, 우린 … Read more

원래라는 이름의 굴레

학생회장 시절, “선장의 편지” 라는 이름으로 학과원들이 함께 생각해 볼 만한 문제에 대한 글을 썼는데 생각보다 몇 편 못 쓰고 중단됐었다. 이건 4편. 졸업전에 마무리 해야지 ————————————————— 신해철이 일간지 인터뷰에서 ‘날 진보라 부를때 좌절한다’고 했는데, 저는 후배들이 절 ‘이상주의자’라 부를 때 좌절합니다. 신해철 자신은 그냥 ‘원칙론자’인데, 개념 상으론 보수라 칭하는게 더 어울리는 자신을 진보라 부르는 … Read more

이준구 교수처럼 쓴소리 해 줄 사람이 신방과엔 없는가?

일단 기사 일부분을 읽어보고 시작하자 ————————————————–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10일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올해 정시 합격생들을 대상으로 열린 특강에서 서울대가 ‘막장교육’으로 가고 있다고 작정한 듯 비판하고 나섰다. 이 교수는 “미국 명문대라도 영어로 강의하는 것만 다를 뿐 내용은 (우리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서울대 출신의 세계적인 학자는 거의 없다.”면서 “이는 단순 주입 암기식 교육과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의 … Read more

No Subject (guest)

학자는 정의하는    명사 기업가는 움직이는 동사 언론인은 연결하는 조사 – 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각 직업군을 품사에 대입하면 뭐가 될 까 궁리해 봤다

No Subject (guest)

음악 교과서에 실린  ‘라 쿠카라차’ 원래 멕시코의 민요인 라 쿠카라차는 바퀴벌레라는 뜻 1910년 멕시코 혁명 지도자 판초 바야가 등장한다 아래는 라쿠카라차의 원래 가사 라 쿠카라차 라 쿠카라차 이제 더 이상 살 수가 없어 먹을 것이 없기 때문에…… 누군가 나를 미소짓게 하네 그는 바로 셔츠를 벗은 판초 비야 이미 카란사의 군대는 도망가버렸네 판초 비야의 군대가 오고 있기 … Read more